논문 상세보기

청동기시대의 수렵과 채집 KCI 등재

Hunting and Collecting During the Bronze Ag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7314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200원
韓國靑銅器學報 (한국청동기학보)
한국청동기학회 (Society for Korean Bronze Culture)
초록

수렵과 채집은 구석기시대부터 존재하였던 생계 형태로 농경의 비중이 높아진 청동기시대에도 일정한 역할을 담당하였다. 청동기시대 수렵의 종류로는 활수렵과 창수렵, 함정수렵 등이 있는데, 이 가운데 함정수렵의 비중이 높아졌던 것이 신석기시대와 구별되는 청동기시대 수렵의 특징이다. 함정수렵은 수렵에서 손실되는 노동력을 절감함과 동시에 수렵의 시점을 자유롭게 결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장점을 고려하면 청동기시대에 농경의 비중이 높아짐과 동시에 수렵활동에 투입할 수 있는 노동력의 비율이 감소하였기 때문에 함정수렵을 채택하였던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그리고 청동기시대 채집의 양상을 추정할 수 있는 자료는 없지만, 수렵처럼 노동력을 절감하는 방향으로 변화하였을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한다. 즉, 농경활동을 통해 구축된 협업체계를 통해 단시간에 많은 사람이 채집활동을 실시함으로써 결과적으로 노동력을 절감하는 형태로 변화하였을 것으로 추정한다. 청동기시대에 수렵과 채집에서 변화가 발생한 시점은 청동기시대 후기로 판단되는데, 이 시점은 수도작이 확산되는 시기에 해당한다. 수렵과 채집에서 확인되는 변화가 노동력의 효율적 사용이라는 점에서 전작보다 수도작의 확산으로 발생한 사회변화가 보다 컸던 것으로 생각한다.

Hunting and collecting was a type of livelihood that existed in the Old Stone Age, and it stillplayed a certain part also in the Bronze Age in which the proportion of agriculture increased. There were various types of hunting by bow, spear and trap during the Bronze Age. Amongthem, the hunting by trap was one of the most predominant characteristics during the BronzeAge distinguished from the Neolithic Period. Trap hunting could be beneficial in that it enabledpeople to reduce the labor forces lost in hunting and allowed them to freely determine the spe-cific time for hunting. Considering this benefit, the significance of agricultural farming becamehigher in the Bronze Age and the rate of work force that could be inputted in hunting activitieswas reduced; in this regard, it has been estimated that the trap hunting was adopted. Meanwhile, there have been no data estimating the aspects of gathering in the Bronze Age.However, it has been thought that it was changed into the direction of curtailing work forces asin hunting. Namely, it has been estimated that people could end up reducing labor force by con-ducting gathering activities in short period of time through cooperative work established via agri-cultural activities.It has been believed that the point of time when there were changes in hunting and gatheringwas in the late Bronze Age and it was when rice farming was spreading. It has been thought thatthere were more social changes caused by the spread of rice farming rather than dry-field farm-ing in that the changes shown in hunting and gathering were the effective use of labor force.

목차
요약
 Ⅰ. 머리말
 Ⅱ. 수렵
 Ⅲ. 채집
 Ⅳ. 수렵·채집의 변화와 사회적 의미
 Ⅴ. 맺음말
 참고문헌
 영문요약
저자
  • 金度憲(울산문화재연구원) | 김도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