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tablishing Middle Bronze Age and Related Problems
청동기시대 중기설정과 문제
한국고고학에서 청동기시대 시기구분은 1980년대 이후 송국리문화를 특징으로 中期가 설정되어 前期-中期-後期의 3時期區分이 이루어졌다. 3시기구분은 1990년대까지 거의 통설로 받아들여졌다. 그러나 최근에는 청동기시대 後期의 점토대토기문화를 청동기시대에서 분리하여 초기철기시대로 보고 있어, 청동기시대는 전기와 후기의 2시기로 구분하자는 의견과 3시기로 구분하자는 의견이 팽팽하다. 中期는 지역에 따라 다른 양상으로 나타나는데 남부지역은 송국리문화를 특징으로 하고 있으며, 북한지역의 경우 서북한지역의 미송리형토기문화, 동북한지역의 유정동유형으로 대표된다. 중부지역은 역삼동 Ⅱ유형과 북한강유형으로 대표되며, 영남 동남해안지역은 검단리유형으로 대표된다. 이처럼 청동기시대 중기에는 지역적으로 다양한 문화양상들이 확인되고 있다. 後期는 점토대토기문화를 특징으로 하는데, 점토대토기문화는 靑銅器時代後期, 初期鐵器時代, 三韓時代등 다양한 명칭이 사용되고 있다. 점토대토기문화는 한반도에서 가장 발전된 靑銅遺物이 출토되고 있어 청동기시대 후기로 설정할 수 있다. 중기의 年代는 上限은 전기의 下限과, 下限은 後期의 上限과 맞물려 있다. 전기의 하한과 중기의 상한을 명확하게 구분하기는 힘들지만 전기의 특징적인 장방형주거지가 소형화되고, 토기문양이 소멸되며, 석기에서도 변화가 확인된다. 이러한 변화 양상은 절대연대 자료로 볼 때 기원전 10세기경 시작된 것으로 보이며 특히 중기의 특징적인 송국리형주거지의 연대를 기원전 10세기로 보고 있어 중기의 상한은 기원전 10세기로 설정하고자 한다. 이 시기가 되면 한반도 전역에서 중기문화가 나타난다. 중기의 하한은 점토대토기와 같은 외부로부터 새로운 토기문화가 유입되는 시기로 설정할 수 있으며 한반도에 점토대토기가 유입되는 시기는 절대연대와 요서지역 자료를 참고할 때 기원전 6세기까지 올라가는 것으로 보아 늦어도 기원전 5세기부터 청동기시대 후기로 편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중기의 하한은 기원전 5세기 이전으로 잠정해두고자 한다. 그러나 중기로 편년되는 송국리형주거지의 경우 제주지역에서는 기원전 1세기내지는 기원후 2~3세기까지 축조되고 있다.
Acknowledging Songgukri-type assemblage reflects an intermediate cultural stage and incorpo-rating it into previous chronological system of Early-Late Bronze Age, three-subperiods systemfor Bronze Age was established. More recently it has been hotly debated whether roll-rimed pot-tery assemblage which has been considered to characterize Late Bronze Age could be assignedto Early Iron Age or not. The Middle Bronze Age come to have differing connotations throughthe regions. For the southern part of Korea, for instance, Songgukri-type assemblage character-izes MBA, while Misongri-type does for northeastern part, Yujeongdong-type for northwesternpart, Yeoksamdong II-type and Bukhangang-type for central western part, and Geomdanri-typefor southeast coastal region.Late Bronze Age characterized by roll-rimmed vessels has been differently designated such asEarly Iron Age and Three Han Period, according to the scholars. Late Bronze Age witnessed, inrelative term, full development of bronze-manufacturing technology, thus it has to be acknowl-edged as Bronze Age rather than Early Iron Age at least in South Korea. The transition from Early to Middle Bronze Age can be characterized by changes in archaeo-logical records, such decrease of longhouses' sizes, extinction of rim decoration of pottery,changes in lithic assemblages. Considering absolute dates, such changes seem to have happenedabout the 10th century BC. In addition, the Songgukri-type dwellings date to the 10th centuryBC. In this light, the beginning of Middle Bronze Age could be 10th century BC. From this date,Middle Bronze Age assemblages might have spreaded into the whole region of the KoreanPeninsula.Late Bronze Age can be characterized by the spread of 'roll-rimmed pottery assemblages', origi-nated outside Peninsula. Taking into account the absolute dates and materials found in theLiaoxi region, the introduction of roll-rimmed vessels might have dated back to the 6th centuryBC, to the utmost 5th century BC. Therefore, the lower limit of the Middle Bronze Age can tem-porality be set forth as 5th century BC. However, Songgukri-type dwellings seem to have beencontinuously built by first century BC, or even second or third century AD in Jeju Isl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