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선교적 교단을 향하여 - 선교적 교회론의 관점에서 본 한국의 교단 KCI 등재

For the Missional Denominations - The Korean Denominations from a Perspective of the Missional Ecclesiolog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73306
  • DOIhttps://doi.org/10.14493/ksoms.2014.2.20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7,800원
선교신학 (Theology of Mission)
한국선교신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ission Studies)
초록

이 글은 ‘한국의 교단들이 복음적인가?’라는 근본적인 질문에 대한 대답을 추적한다. 이 질문에 대답하기 위해서는 일단의 평가기준을 마련할 필요가 있었다. 여기에 적절한 것이 선교적 교회론의 관점에서 교단주의 혹은 교단들에 대한 평가들이었다. 그래서 먼저 2장에서 밴 겔더의 연구 성과물을 중심으로 북미 교단들의 현실과 나아가야 할 방향을 살펴보았다. 북미교단들의 평가가 중요한 것은 한국의 교단들 대부분이 북미로부터 수입되었고, 그 성쇠 패턴이 유사하기 때문이다. 그 평가들에 따르면 북미교단들은 역사적으로 시대적인 상황 속에서 변화, 발전되었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그리고 현재 각 교단들은 철저히 성서적인 기반 위에 성립되어야 하고, 역사적으로 상황을 중시해야 하며, 사회적으로 다양한 계층들이 복합적으로 모이는 공동체가 되어야 하고, 조직적으로는 통전적인 선교적 교단으로 발전되어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이때 선교적 교단은 교회를 해체하자는 운동이 아니다. 3장에서 우리는 앞서 추출된 기준과 방향성을 잣대로 삼아 한국 교단을 평가해 보았다. 그 결과 한국 교단들의 통제시스템, 미래예측, 선교자원 활용이 상당히 부족함을 지적하였다. 이것을 극복하기 위해 성경적인 선교적 교단들을 추구해야 하고, 여전히 각 교단들의 상호예의가 필요하며, 사회변화에 따른 다양한 선교대상들을 접근해야 하고, 각 교단들의 선교적 연계성이 필요하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특히 사회적 영향력을 상실하여 교단들의 교세가 감소되는 위기적 상황에서 복음 속에서 그 극복의 단서를 찾고 교회의 본질을 회복하는 교단의 모습과 선교적 리더십을 가진 목회자, 선교적 교회 마인드로 무장된 교인들이 많이 양육되어 배출되도록 하는 시스템이 갖추어져야 할 것을 제시하였다.

This paper tries to provide an answer to the question of whether the Korean Church is missional. This quest needs a tool for the evaluation. This paper believes that the evaluation of denominations from the perspective of missional ecclesiology is appropriate. Therefore, the chapter two examined the North American churches based on Craig Van Gelder research. The evaluation of the North American church is crucial because most of Korean churches have their roots in the North American churches, and their rise and falls are quite similar to them. The research tells that the North American churches have developed and changed in accordance to their contemporary situations. It also tells that each denomination should have its basis on the Bible, be sensitive to its contemporary situations, be a community that is formed with various social classes, and grow to be a holistic missional denomination. Being a missional denomination, however, does not mean to disorganize church.In chapter three, we examined the Korean church on the basis of the standard previously mentioned, and we pointed out that the Korean church has a problem with the control system, predicting the future, and the use of mission resources. Therefore, this chapter made a few suggestions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church should be biblical mission oriented church; each denomination should respect each other; various approach to the mission targets in accordance to the social change should be made; and each denomination should be missional networked. It especially suggested that a system to produce many pastors with missional leadership and mission minded lay persons. It also suggested that the church should try to find ways to overcome the crisis of the contemporary churches that have lost their social influence and accordingly encounter the minus growth.

목차
한글 초록
Ⅰ. 들어가는 말
Ⅱ. 선교적 교회론의 관점에서 본 북미의 교단들
Ⅲ. 선교적 교회론의 관점에서 본 한국의 교단들
Ⅳ. 나가는 말
Abstract
참고 문헌
저자
  • 이후천(협성대학교, 선교학) | Hu-Chun Lee
같은 권호 다른 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