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선교적교회론과 선교적해석학 - GOCN의 연구를중심으로 KCI 등재

Missional Church and the Bible - Through Missional Hermeneutic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73313
  • DOIhttps://doi.org/10.14493/ksoms.2014.2.1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8,300원
선교신학 (Theology of Mission)
한국선교신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ission Studies)
초록

성경에 나타난 선교에 대한 연구는 성경을 문자적으로 있는그대로 받아들여서 선교의 당위성이나 특정 선교단체의 목적을 위해 성경의 일부를 차용하던 방식에서부터, 성경전체를 역사비평적으로 연구해 하나님의 선교를 증명해내는 방식에로, 여러 학자들의 연구를 통해 서서히 변화해 왔다. 영미권에서 볼 때 1980년대 이전에는 대개 전문적인 성서학자보다는 선교학자들이 성경을 선교적 관점으로 보는 방식이 주류였다. 이러한 방식은 자의적 안목으로 성경의 특정 부분을 강조하는 한계가 있었으며, 특히 구약성경은 십 수 년 전까지도 선교와 많은 관련성을 갖지 못한 책으로 치부되었다. 이와 달리 성서학자들은 하나님의 선교가 성경에 분명히 나타남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역사비평에 의존하여 성경전체를 선교적으로 읽지 못하였고 선교현장을 고려한 해석학도 발전시키지 못하였다.서구교회가 반세기동안 형성해온 선교의 중심주제가 ‘선교적교회론’으로 집결되어 나타났다. 이는 교회의 상황을 선교적 관점에서 반성하면서 바람직한 교회운동이 선교회복운동과 맞물려 일어난 것이다. 선교적교회 운동이 교회와 선교의 본질에 대한 성경적 근거를 제시해야 하겠기에, 최근 호주와 북미의 GOCN은 선교적해석학(Missional Hermeneutic) 방면으로 이 운동을 추진하고 있다. 현재 국내에서 선교적교회론은 학문적 논의의 장이 점차 형성되면서 다양한 선교적교회들이 부상하고 있는 상황이다. 한국교회 갱신을 위해서도 도전하는 선교적교회론은 제도화속에 경직화된 한국교회에 도사리고있는 세속적 가치관을 제거하기 위해, 하나님 나라 가치관을 드러내는 성경적 기준을 제시해야 한다. 이 시점에서 필자는 선교적교회론의 뿌리가 되는 교회와 선교의 본질에 대한 성경연구를 최근 부상하고있는 선교적해석학 분야에서 성찰하되, 본 소고는 그러한 성경연구를 위한 표지(標識)가 되는 초점들을 제시한다. 논문의 구성은 선교(학)에서 성경이 어떻게 다루어져 왔는지를 간략히 살피고나서, 선교적교회론에서 선교적해석학의 중요성을 논한다. 다음으로 선교적해석학을 헌스버거(George Hunsberger)를 따라 4유형으로 분류하여 라이트(Christopher Wright), 구더(Darrell Guder) 및 고힌(Michael Goheen), 바람(Michael Barram), 그리고 브론슨(James Brownson)의 입장을 소개한다. 헌스버거는 위의 각 유형들을 서로 배타적이거나 경쟁적으로 보기보다는, 각기 다른 강조점들이 서로를 필요로 하는 상호의존적인 유형들로 보기를 권한다. 그럴 때 모종의 시너지 효과를 볼 수 있다는 것이다. 이것들은 앞으로 계속해서 발전해나갈 선교적해석학에 ‘토대’를 놓아준다. 즉 ‘선교적해석학’을 위한 구조틀(framework-하나님의 선교의 내러티브), 목적(aim-증거를 위한 교회 형성), 접근방법(approach-독특한 사회적 자리에서 나온 질문들), 그리고 해석적 모체(matrix-해석적 열쇠로서의 복음)를 제공해준다.

The research on mission in the Bible has gradually shifted for last decades. The focus has been changed from searching literal meanings to provide legitimacy of mission itself or objectives for certain mission enterprises to prove the mission of God through reading the bible with historical criticism. Before 1980s, especially in British-America, the subject had dealt mainly by missiologists with missionary perspective more than Biblical theologians, which limited the biblical understanding arbitrary and narrow. For example, the old testament was considered as not related to mission until recent years. Also, for leaning on the existing historical criticism, the Biblical theologians both failed to read the Bible in missionary perspective and developing a hermeneutics for mission fields. For last five decades, Western Church has made “Missional Church” a major subject in mission. The result has caused by a correlation between introspection of current situation of the church through missionary perspective and mission recovery movement. To set the biblical ground of Missional Church Movement, GOCN in North America and Australia utilizing the Missional Hermeneutics. In Korea, Missional Church are debated academically and various missional churches are rising. Missional Church must build a standard based on the Bible that emits the values of the kingdom of God to eliminate the worldly values in institutional and ossified church Korea for its revival. At this point, myself will examine the biblical research on the basics of church and mission which is the core of Missional Church through missional hermeneutic. The study will briefly show various missionary understandings of the Bible and the importance of missional hermeneutics in Missional Church. Then the paper will classify the hermeneutics into four types according to Hunsberger and introduce the ideas of Christopher Wright, Darrell Guder and Michael Goheen, Michael Barram, and James Brownson.Hunsberger sees each types of hermeneutics not exclusive nor competitive but mutual dependant that creates a synergy. The ideas offer the bases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the hermeneutics such as the framework(narrative of the Mission of God), aim(church formation for witnessing), approach(questions from each social locatedness), and matrix(Gospel as the key of hermeneutics).

목차
한글 초록
Ⅰ. 서 론
Ⅱ. 선교적 교회론과 성경
  1. 선교학과 성경해석: 선교에 관한 성경연구의 변천
  2. 선교적 교회론과 선교적 해석학
Ⅲ. 선교적 해석학의 4가지 유형
  1. 성경 이야기의 선교적 방향성(Missional Direction of the Story): 라이트
  2. 성경 저술의 선교적 목적(Missional Purpose of the Writings): 구더, 고힌
  3. 독자들의 선교적 자리(Missional Locatedness of the Readers): 바람
  4. 문화들의 선교적 연대성(Missional Engagement with Cultures): 브론슨
Ⅳ. 선교적 해석학의 전망
Ⅴ. 결 론
Abstract
참고 문헌
저자
  • 강아람(장로회신학대학교, 선교학) | Ahram Kang
같은 권호 다른 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