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경기도지역 송이버섯 분포 및 식생환경조사 KCI 등재

CHEMICAL COMPONENTS AND ANTITUMOR EFFECTS OF THE PETROLEUM ETHER EXTRACTS OF Inonotus obliquus (Fr.)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7588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버섯학회지 (Journal of Mushrooms (J. Mushrooms))
한국버섯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ushroom Science)
초록

송이가 발생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경기지역의 과거 송이발생지와 발생가능지역을 중심으로 ’99∼’00년간 송이 발생현황 및 식생조사를 실시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도내 송이발생 지역은 조사지역 19개 지역중 여주군 강천면 걸은리 등 16개 지역이었고 년간 발생량은 총470∼600kg정도였으며, 여주군 강천면 걸은리, 북내면 도전리와 포천군 영중면 금주리 등 일부지역은 현재까지 양호한 식생환경조건을 유지하고 있었으나, 향후 지속적인 적송림의 유지관리가 요구되었으며, 나머지 지역에서는 식생변화 등으로 송이발생량이 대폭 감소하였거나 발생되지 않았다. 2. 도내 조사지역의 송이버섯은 9월 12∼15일에 발생되기 시작하여 9월말에 최성기, 10월 7∼9일경 마무리 되었고 송이발생전후의 기온과 지온은 9월 5∼7일경에 송이자실체 발생을 위해 자극을 받기 시작하는 온도인 19℃ 이하로 낮아졌고, 그 후 약 5∼7일 이후에 송이자실체가 발생되었으며, 송이발생기간동안 기온은 12∼18℃, 지온은 14∼18℃를 유지하였다. 3. 송이 발생지점의 적송밀도는 100㎡당 5.1∼27.1그루, 수령은 15∼50년생, 수고는 4∼11m이었고, 활엽수 및 관목의 밀도가 43∼80%로 높아 간벌과 적송의 관리가 시급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4. 유기물층의 깊이는 여주, 포천지역은 3.5∼4.5㎝, 양평, 가평, 광주는 7.2∼7.7㎝였으며 울폐도는 50∼75%범위였다. 5. 토성은 조사지역 모두 사질토였고 토양pH는 4.3∼5.1, 유기물함량은 3.91∼8.28 범위였다.

We carried out survey of a pine mushroom picking district and its vegetation environment for increase and maintainment of its production in Kyonggi province. The district which we could pick up pine mushroom among the nineteen surveyed district were sixteen such as Geoleun ri Gangcheon myeon Yeoju gun Kyonggi do, etc. and total yields were 470∼600 kg in Kyonggi province. The temperature of atmosphere and earth in Yeoju and Bonghwa were droped to 19 at 5∼7th september and maintained from 12 ∼ 18 during the a pine mushroom picking period. The density of a pine tree per 100m2 was 5.1∼27.1 trees, the years of it was 15∼50years old and height was 4∼11 meter. The pine tree in a pine mushroom picking district was competed with oak trees, azaleas, lacquers, etc. The depth of organic materials accumulated on the pine mushroom mycelium layer was 4.5 cm in Yeoju. The soil texture of a pine mushroom picking district was almost sandy, soil pH was 4.3∼5.1 and organic material content was 3.91∼8.28%.

목차
ABSTRACT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송이발생지 및 발생량
  송이발생지 기상환경
  송이발생지 환경
  토양성분분석
  송이발생지 관리의 문제점 및 향후대책
 적요
 참고문헌
저자
  • 성재모( 강원대학교 농생물학과) | 성재모
  • 김희동( 경기도농업기술원 작물연구과) | 김희동
  • 지정현( 경기도농업기술원 버섯연구소) | 지정현
  • 김영호( 경기도농업기술원 연구개발국) | 김영호
  • 하태문(경기도농업기술원 버섯연구소) | Tai-Moon H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