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생육온도에 따른 느타리버섯 자실체의 형태 및 재배적 특성변화 KCI 등재

The effect of temperature on morphological of fruiting body and cultivated characteristics of oyster mushroom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7643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버섯학회지 (Journal of Mushrooms (J. Mushrooms))
한국버섯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ushroom Science)
초록

본 연구는 느타리버섯 자실체가 생육온도에 따른 수량성과 자실체의 형태적 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느타리버섯 품종 중에서 저온, 중온, 고온성 품종을 구분하여 12개 품종에 대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수량성에 있어서는 품종의 온도 반응적 특성에 맞는 온도에서 수량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형태적 특성에 있어서는 갓크기는 온도처리에 따른 일정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으며, 갓두께에 있어서는 저온 처리인 10℃에서 품종에 관계없이 가장 두껍게 나타났다. 대길이는 삼복 외 4품종은 온도가 증가하면서 같이 증가하였으며, 그 외의 품종은 품종에 따라 약간의 차이를 보였다. 대굵기에 있어서는 대체적으로 온도 증가에 따라 가늘어지는 경향이나 품종간 약간의 차이가 나타났다. 버섯수확소요일수에서는 10℃처리에서 가장 기간이 길었으며, 품종별 가장 짧은 소요일수를 보인 것은 품종의 온도 특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품종에 따라서 온도에 반응하여 기형적 형태를 보이는 경우가 있었는데 이런 특이적 현상은 수한1호의 경우 저온 처리인 10℃에서 버섯이 발이후 어린 버섯 갓 표면에 백색 인피가 형성하며 성장 후에는 갓의 일부분에만 발생하거나 없어지는 현상이 있었으며, 춘추2호에서는 고온인 20℃ 이상에서는 대가 뒤틀리며, 대기 휘어지는 특이적 현상이 발생하였다.

Changes of fruiting body yield and morphology according to growing temperatures in Pleurotus strains were investigated. In this study, twelve commercial strains divided into low, medium and high temperature groups were tested. On the basis of fruiting body yield, they showed best in their own temperature properties. On the other hand, they didn’t have any fixed tendency to growing temperatures on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Thicknesses of pilei were best at 10℃, having nothing to do with strains. Lengths of stipes were increased with the progress of cultivation temperatures in five strains including ‘Sambok’. The other strains showed differences on this trait. Thicknesses of stipes were decreased with the progress of cultivation temperatures in other strains excepting ‘Sambok and ASI2029’. Days for harvest were extended as temperature decreased, even though the shortest days were different according to strains. Sometimes there were abnormal shapes of fruiting bodies in response to temperatures in some strains. In ‘Suhan-1’, white cilia fully covered onto the surface of pilei were observed macroscopically at the early stage and then disappeared or remained a little later at 10℃ cultivation. In ‘Chunchu-2’, their stipes were twisted and bent over 20℃ cultivation.

목차
ABSTRACT
 서론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적요
 참고문헌
저자
  • 전창성(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인삼특작부 버섯과) | Chang-Sung Jhune
  • 윤형식(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인삼특작부 버섯과) | 윤형식
  • 장갑열(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인삼특작부 버섯과) | 장갑열
  • 공원식(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인삼특작부 버섯과) | 공원식
  • 이강효(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인삼특작부 버섯과) | 이강효
  • 이찬중(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인삼특작부 버섯과) | 이찬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