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꾀꼬리버섯(Cantharellus cibarius) 균사생장에 영향을 미치는 최적 탄소원과 질소원의 탐색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77059
모든 회원에게 무료로 제공됩니다.
한국버섯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ushroom Science)
초록

꾀꼬리 버섯(Cantharellus cibarius)은 프랑스 요리의 재료로 사용되면서 식용버섯으로 널리 알려졌으며 유럽에서 가장 많이 이용되는 야생버섯으로 단백질 구성성분인 아미노산이 19종류나 함유되어 있고 에르고스테롤과 식이섬유가 풍부하여 약리작용을 한다는 보고도 있다. 꾀꼬리버섯의 유전자원을 수집하여 인공재배기술을 개발하기 위한 전 단계로 꾀꼬리버섯 균사생장에 영향을 미치는 pH별, 온도별, 배지별 균사생장에 대한 조사가 전보에서 진 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꾀꼬리버섯의 액체배양에 의한 생체량을 산출하여 최적 영양원의 종류와 농도를 규명하고자 탄소원(carbon sources) 10종, glucose, D-fructose, D-galactose, D-arabinose, D-xylose, D-maltose, mannitol, sucrose, starch, dextrin과 질소원(nitrogen sources) 12종을, KNO3, (NH4)SO4, NH4H2PO4, (NH4)2HPO4, NH4NO3, NaNO3, NH4Cl, DL-alanine, L-asparagine, L-glutamic acid, urea, peptone, 선정하여 균사생장의 최적조건을 조사하였다. KACC균주 배양의 최적 탄소원은 starch와 dextrin이었으며, KACC 51958계통은 각 0.79, 0.86g의 생체건량이, KACC 51976은 각 0.60, 0.68g의 생체건량이 생성되었다.

저자
  • 채수명(경남농업기술원 친환경연구과)
  • 김미진( 경남농업기술원 친환경연구과) | 김미진
  • 권나희( 경남농업기술원 친환경연구과) | 권나희
  • 제희정( 경남농업기술원 친환경연구과) | 제희정
  • 임착한( 경남농업기술원 친환경연구과) | 임착한
  • 김경희( 경남농업기술원 친환경연구과) | 김경희
  • 김민근( 경남농업기술원 친환경연구과) | 김민근
  • 류재산( 경남농업기술원 친환경연구과) | 류재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