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심비디움에 발생하는 해충의 종류 KCI 등재

Pests occurring on Cymbidium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7776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응용곤충학회지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한국응용곤충학회 (Korean Society Of Applied Entomology)
초록

수출용 심비디움에 발생하는 해충의 종류와 해충관리 현황을 알아보고자 국내 주요 재배단지 10개 지역 45농가를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농가에서 채집된 해충의 종류는 응애류(20농가), 깍지벌레류(6농가), 민달팽이류(6농가), 총채벌레류(8농가), 진딧물류(5농가) 노린재류(1농가) 등이었다. 채집한 해충은 현미경을 이용하여 동정한 결과 점박이응애(Tetranychus urticae Koch), 대만총채벌레(Frankliniella intonsa Trybom), 난초핀깍지벌레(Pinnaspis aspidistrae Signoret), 민달팽이(Incilaria confusa Cockarel), 썩덩나무노린재(Halyomorpha brevis Walker), 복숭아혹진딧물(Myzus persicae Sulzer), 목화진딧물(Aphis gossypii Glover), 무화과깍지벌레(Coccus hesperidum Linnaeus)와 소형달팽이류 1종으로 나타났다. 총채벌레 산란피해로 의심되는 증상의 정확한 동정을 위해 rDNA의 ITS2 부위를 PCR-RFLP 한 결과 아까시총채벌레(Thrips flavus Schrank)와 파총채벌레(Thrips tabaci Lindeman)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수출 심비디움을 재배하는 농가에서는 이러한 해충들에 대한 종합적인 방제대책을 수립하여 실천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A survey of pest occurrence and status of farmer's pest management was conducted at 45 cymbidium farms in 10 major cultivation areas in Korea. The pest species collected from the cymbidium farms were identified as follows: Tetranychus urticae Koch, Frankliniella intonsa Trybom, Pinnaspis aspidistrae Signoret, Incilaria confusa Cockarel, Halyomorpha brevis Walker, Myzus persicae Sűlzer, and Aphis gossypii Glover, Coccus hesperidum Linnaeus, Thrips flavus Schrank, and Thrips tabaci Lindeman. The two-spotted spider mite, T. urticae, was the key pest in cymbidium production, occurring on 45 farms, followed by scales (20 farms), slugs (6), thrips (8), aphids(5), and stinkbug (1). PCR-RFLP of the rDNA ITS2 region revealed that two thrips species, Thrips flavus Schrank and Thrips tabaci Lindeman, occur on cymbidium farms.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the cymbidium farmers to establish an integrated pest management system to meet quarantine standards.

저자
  • 조명래(국립원예특작과학원 원예특작환경과) | Cho, Myoung Rae
  • 전성욱(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원예특작환경과) | 전성욱
  • 강택준(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원예특작환경과) | 강택준
  • 김형환(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원예특작환경과) | 김형환
  • 안승준(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원예특작환경과) | 안승준
  • 양창열(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원예특작환경과) | 양창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