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등숙기 일사 저하가 쌀 수량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Effect of Low Radiation During Grain Filling Stage on Rice Yield and Grain Qualit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77805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등숙기 일조부족이 수량 및 수량구성형질, 쌀의 이화학적 특성 및 식미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자연광을 대비하여 35%, 55% 차광 처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등숙기 차광처리에 의해 미품, 호품, 신동진의 등숙률, 현미천립중, 쌀 수량은 감소하였고 차광정도가 클수록 높은 감소율을 보였다. 2. 차광처리시 백미 단백질 함량은 증가하였고 35% 차광보다 55% 차광에서 높았으며, 미품이 호품과 신동진에 비해 단백질 함량의 변화가 적었다. 3. 차광처리시 아밀로스 함량 변화는 없었으나 식미치는 차광정도가 높을수록 감소하였고 미품이 신동진과 호품에 비해 변화가 적었다. 4. 차광에 의해 최고점도, 최저점도, 최종점도 및 강화점도는 낮아지고 호화온도와 치반점도는 높았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know the effect of low radiation during grain filling stage of rice on its grain yield, components,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palatability, compared to the effect of natural light. Ripened grain ratio, 1000 grain weight of brown rice, milled rice yield of Mipum, Hopum, and Sindongjin were reduced as the shading treatments become higher. After harvest,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rice influencing eating quality were investigated. Protein content of milled rice was increased, but palatability was decreased by shading treatments. Change of milled rice proteins and palatability due to shading treatments were found to be less in Mipum than that in Hopum and Sindongjin. With regard to amylogram properties, shading treatments resulted in a significant decrease in peak trough final breakdown viscosities of rice flour, though it increased pasting temperature and setback viscosity. The degree of the 55% shading effect was more intensive than the 35% shading effect in changes of ripened grain ratio, 1000 grain weight of brown rice, milled rice yield and milled rice protein.

저자
  • 이점호( 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 | 이점호
  • 김보경( 국립식량과학원 답작과) | 김보경
  • 남정권( 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 | 남정권
  • 백만기( 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 | 백만기
  • 박현수( 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 | 박현수
  • 신운철( 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 | 신운철
  • 고종철( 농촌진흥청) | 고종철
  • 김기영(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 | Kim, Ki-You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