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에서 육성한 톨 페스큐 신품종 푸르미의 종자증식 기술개발과 종자생산성 및 채종짚의 사료가치 평가를 통해 종자생산 기술체계를 확립하고자 국립축산과학원 초지사료과 시험포장에서 파종시기별 종자생산성을 조사하였다. 파종시기에 따른 출수기의 차이는 약 2∼3일정도 차이를 보였으며 종자수량의 결정에 중요한 요소인 단위면적당 이삭수는 9월 17일 파종이 692본/m2로서 가장 많았고 이보다 10일 빠르거나 늦은 경우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채종 종자의 천립중도 2g 내외로 발아율도 80~83%로 처리구간의 큰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채종 종자수량의 수량성은 파종시기가 9월 17일 경우 1,711kg/ha로 가장 많았으며 파종시기가 이보다 10일 빠르거나 늦은 경우 생산된 종자의 수량은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생초 수량과 건물 수량은 파종시기가 9월 17일 파종시 각각 63,556kg/ha, 16,926kg/ha로서 가장 많았으며 파종시기가 10일 간격씩 늦어질수록 건물수량도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반면 채종짚의 사료가치는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Tall fescue(Festuca arundinacea Schreb.) is one of cool-season adapted perennial grass species and has been cultivated worldwide as a important forage and lawn grass.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seed production of new tall fescue cultivar, ‘Purum’, which was cultivated in Korea. Agronomic aspects of tall fescue were determined using seed production and forage nutritive value of straw at the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DA from 2012 to 2013. The heading date according to the seeding time displayed 2~3 days differences. The harvested seed yields were the largest(1,711kg/ha) when seeding date at September 17th, whereas it decreased when planted ten days earlier or later than at that time. The thousand-grain weight of gathering seeds was 2g, and the germination rate was 80 to 83% showing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different seeding times. The yield of fresh weight and dry matter were the largest(63,556kg/ha and 16,926kg/ha, respectively) when planted at September 17th. The dry matter yield was gradually decreased with delaying seeding time as 10 days period. However, nutritive values of straw did no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