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경도인지장애를 가진 노인 운전자의 위험요소 예측 및 인지평가도구에 대한 메타분석 KCI 등재

Meta-analysis on a Cognition Assessment Tool and the Prediction of Risk Factors on Older Driver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MCI)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7851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200원
대한작업치료학회지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대한작업치료학회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초록

목적 : 경도인지장애를 가진 노인 운전자의 안전을 위해 운전상황에서 나타나는 위험요소를 예측하고, 운전 위험성 확인을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인지평가도구를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 “경도인지장애”와 “정상”노인 운전자 그룹으로 분류하여 운전평가와 인지평가를 실시한 무작위 대조군(Randomized Control Trial; RCT)연구 17편을 대상으로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Jadad 평가를 사용하여 질적 분석을 수행하였고, 각각의 위험요소와 인지평가도구에 대하여 통계적 이질성, 효과크기, 민감도 및 출판편의 검정을 실시하였다. 결과 : 선정된 연구들의 Jadad 평가는 “높은 질의 논문”으로 평가되었다. 인지평가도구의 효과크기 분석결과 길 만들기 검사-A (Trail Making Test-A; TMT-A), 길 만들기 검사-B (Trail Making Test-B; TMT-B), The Useful Field of View (UFOV-subtest 2)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p<.05). 각 효과크기는 TMT-A가 0.44, TMT-B가 0.54, UFOV-subtest 2가 0.52로 “큰 효과크기”로 해석할 수 있다. 또한 위험요소의 효과크기 분석결과 주행오차 항목만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p<.05). 각 효과크기는 주행오차가 0.83, 주행속도가 -0.17, 반응속도가 0.70, 브레이크가 0.47 그리고 회전은 –0.81이다. 따라서 주행오차와 회전은 “큰 효과크기”, 반응속도는 “중간 효과크기”, 브레이크는 “작은 효과크기”로 해석할 수 있다. 결론 : TMT-A, TMT-B와 운전 시 필요한 시지각 능력을 평가하는 UFOV–subtest 2는 경도인지장애를 가진 노인 운전자의 운전 위험성 확인을 위해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위험요소에서 속도위반, 신호위반, 차량 정지선 위반을 의미하는 주행오차는 안전한 운전을 위한 추가적인 정보로서 활용될 수 있다.

Objective : The study aims to predict the risk factors during driving situations, and verify the usability of cognition assessment tools that may be used to check the level of danger when driving for the safety of older drivers with MCI. Methods : A meta-analysis was performed on 17 RCT studies conducted for driving and cognition assessments by classifying the “MCI” and “normal” groups. A quantitative analysis was also conducted based on the statistical heterogeneity, size effect, sensitivity, and publication bias for every cognition assessment tool and risk factor. Results : A Jadad assessment was conducted to assess whether the selected studies were of high quality. In terms of the effective size of each tool, TMT-A was 0.44, TMT-B was 0.54, and UFOV-sub-test 2 was 0.52, which can be interpreted as having a “large size effect.” For the size effect, the driving error was 0.83, the vehicle speed was –0.17, the reaction time was 0.70, the braking was 0.47, and the turning was –0.81. Therefore, the driving error and turn were interpreted as having a “large size effect”, and the reaction time and braking were interpreted as having a “medium size effect” and “small size effect,” respectively. Conclusion : TMT-A, TMT-B, and UFOV–sub-test 2 are useable to verify the driving danger of MCI drivers. In addition, driving error is useable as additional information for safe driving.

저자
  • 송아영(유성 웰니스 재활전문병원 작업치료실) | Song, A-Young Corresponding author
  • 박민경(유성 웰니스 재활전문병원 작업치료실) | Park, Min-Kyoung
  • 이재신(건양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Lee, Jae-Sh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