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재배활동중심 원예치료 프로그램이 여자 성인 수형자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Effects of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Focusing on Cultivation Activities on Mental Health of Female Adult Prisoner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78654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인간식물환경학회지 (Journal of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인간식물환경학회 (Society For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초록

본 연구는 재배활동중심 원예치료 프로그램이 여자 성인 수형자들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재배활동중심 원예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10명과 원예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 10명을 대상으로 2013년 4월 26일부터 2013년 7월 12일까지 주 1회, 총 12회 실행되었다. 프로그램은 ‘사회복귀예정 수형자를 위한 원예치료 심리적 결과 모델의 개념적 틀’에 근거한 ‘재배활동중심 원예치료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실험 결과,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대인예민성, 불안, 정신증이 유의하게 낮았고, 또한 실험군은 프로그램 후에 대인예민성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 대조군의 경우 9개 증상차원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재배활동중심 원예치료 프로그램이 여자 성인 수형자의 정신건강 향상을 위해 활용 가능함을 검증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하겠으며, 향후 교도현장에서 교정·교화를 위한 프로그램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focused on cultivation activities for female adult prisoners on mental health. 20 female adult prisoners were participated. Experimental group of 10 members received a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and control group of 10 members did not receive a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And this study was performed from 26th of April 2013 to 12th of July 2013.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focused on cultivation activities(Lee et al., 2013)’ which was based on ‘conceptual frame of psychological outcome model in horticultural therapy for prisoners scheduled for release(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12)’ was applied. As the results, interpersonal sensitivity level of the experimental group decreased significantly after horticultural therapy(p=0.028), while in control group was not showed significant on 9 domains of symptom. Therefore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focused on cultivation activities could be utilized as appropriate rehabilitation program for increase of mental health in female adult prisoners in future.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방법
  1. 연구 설계
  2. 연구 대상
  3. 연구 도구
  4. 자료처리 및 분석 방법
  5. 연구의 제한점
 Ⅲ. 결과 및 고찰
 Ⅳ. 적요
 Ⅴ. References
저자
  • 이상미(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도시농업연구팀) | Sangmi Lee
  • 문지혜(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도시농업연구팀) | Ji Hye Moon Corresponding author
  • 정순진(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도시농업연구팀) | Sun Jin Jeong
  • 김경미(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도시농업연구팀) | Gyung Mee Gim
  • 제의숙(서울시립대학교 환경원예학과) | Eu Sook J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