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日帝 참모본부 장교의 측량침략과 朝鮮 目測圖의 특징 KCI 등재

Japanese Intelligence Officers’ Surveying Aggression on Chosun Dynast and the Characteristics of Visual Measurement Maps

일제 참모본부 장교의 측량침략과 조선 목측도의 특징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7887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300원
한국지도학회지 (Journal of the Korean Cartographic Association)
한국지도학회 (The Korean Cartographic Association)
초록

본 연구는 조선왕조 말기에 일본 육군성 참모본부 소속의 장교들로 조직된 첩보장교들이 국제법을 위반하면서 한반도에 침투하여 측량침략을 감행한 비밀측량 지도들을 분석한 것이다. 이 지도들은 첩보장교들의 목측에 의해 은밀하고 신속하게 제작된 노상측도와 目測迅速圖로 제작되었기 때문에 일정한 도식이 적용되지 않았다. 이들 지도에서 주목할 만한 것은 일정한 도식에 근거한 등고선과 축척표시가 체계화되지 못하였고 지형의 고도를 표시하기 위하여 우모식과 등고선식이 혼용되었다는 점이다. 그러나 지형을 사실과 근사하게 표시하기에는 많은 시간이 요구되었으므로 경우에 따라서는 간단한 약식등고선이 사용되기도 하였으며, 기호의 범례는 대부분 생략되었다.

This study analyzed visual measurement maps that Japanese intelligence officers had investigated secretly in violation of the international law in the last years of Chosun Dynasty. The mapping method of these maps does not have a conventional form of a diagram because it bases on the surreptitious and apid visual approximation using the eye measurement. The result of analysis hows not only the unsystematic indication of contour lines and scales but also the employment of both contour lines and hachures for the description of topographical altitude. When occasion demands, the simplified contour lines are used because a precise mapping requires time-consuming work and the legends of maps are also mostly omitted.

목차
요 약
 Abstract
 I. 서론
 II. 일제의 측량침략
 III. 目測圖의 분석
  1. 요원별 측량지도 개관
  2. 圖式의 특징
  3. 개항장 지도
 VI. 요약 및 결론
 註
 참고문헌
저자
  • 남영우(고려대 교수) | Young-Woo Nam
  • 이호상( 서울대 일본연구소 연구원) | 이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