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과 교통의 발달, 글로벌 금융과 문화의 확산은 전 세계적으로 이주의 증가를 가져왔고, 우리나라에서는 산업구조의 변화, 사회적 가치의 변화, 교육의 글로벌화를 경험하면서 외국인 이주자의 유입이 급격히 증가하였다. 최근 이주 연구는 이주자의 사회적 관계에 대한 공간스케일에 주목하는데, 이주자는 국경을 초월한 사회적 관계를 유지함과 동시에, 정착지의 사회문화에 착근되면서 로컬을 변화시키는 주체로서 주목받고 있다. 본 연구는 전국 시군구 및 서울시 동별 스케일에서 이주자 공간의 특성을 국적과 체류형태별로 구분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이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이주자는 국적과 체류유형별로 거주 공간의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특정 장소를 점유하면서 사회적 자본을 발달시키고 이주자 공간을 만들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아시아 이주자가 다수를 차지하는 단순직 노동이주자는 주요 공장지대 주변에 집중적으로 거주하고 있으며, 미국, 영국, 프랑스, 독일 및 호주와 같은 유럽계 이주자들은 용산구 일대에 집중적으로 거주하는 특성을 보인다. 교육이주자는 기존 자국민의 이주자가 집중된 지역에 거주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이 다수인 결혼이주자는 대부분 도시에 거주하고 있는데, 결혼이주자들이 가장 많이 거주하는 곳은 한국계중국인이 밀집된 곳이거나 수도권 내 주요 공장지대이다. 본 연구는 이주자의 공간은 국적에 따라 차이가 나타날 뿐만 아니라 체류유형에 의해서도 차이가 나타남을 보여준다. 따라서 이주자를 민족이나 국가 단위로 동질화하여 설명하는 것은 문제가 있음을 보여준다.
The development of internet and transportation, and the expansion of global finance and culture have increased migrants in the world. In case of Korea, the changes of industrial structure, the changes of social values and the globalization of education have brought a sharp increase of foreign migrants. Recent migration study tends to giving attention on the spatial scale by migrant's social relations. Migrants are not only trying to maintain the transnational social relations, but also embedding into the local's socio-cultural environment, deriving local changes. This research attempted to reveal the characteristics of migrant space with diverse of scale levels through categories of states and visa-type in the city-gun-gu scale in national level and dong scale in Seoul. This research clearly shows the fact that migrant's residential spaces are different by nationality and migration status. Migrants tend to utilize a certain kind of social capital, making the new space of migrant. Routine labor migrants, mainly from asian countries, are concentrated on the manufacturing areas, while professional labor migrants from European countries such as U.S.A., U.K. France, Germany, and Australia are inclined to settle in the Yongsan area. Also There are several distinctive spatial distribution related to migration status (visa-type). Educational migrants tend to find their residential place nearby their ethnical anchorage. Marriage migrants who are dominated by female are highly concentrated into the city areas which are nearby the place of Korean-chinese's residential areas and the manufacturing areas. This research clearly shows that the space of migrants is different by nationality and migration status. Thus, the homogenisation of migrants by ethnic or state tend to raise a problem in migration stud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