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꽃이 큰 광지역 적응 경관용 유채 중간모본 ‘중모 7001’ KCI 등재

A Rapeseed Intermediate Parent ‘Jungmo 7001’ with Wide Adaptable and Large Flower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79037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육종학회지 (Korea Journal of Breeding Science)
한국육종학회 (The Korean Breeding Society)
초록

‘중모 7001’은 꽃이 커서 경관용으로 적합한 유채 신품종으로 1984년에 [(망운재래 × Bronowski) × Erra] × Tower를 모본으로 하고 ‘RS10’을 부본으로 인공교배하여 육성하였다. ‘중모 7001’의 엽형은 하부익상전렬, 엽색 및 줄기색은 녹색, 결각은 중간이며 꽃색은 황색, 종피색은 흑색이고, 꽃의 크기가 ‘한라유채’ 에 비하여 매우 커서 경관용으로 적합하다. ‘중모 7001’의 개화기(4월 17일)와 성숙기(6월 8일)는 ‘한라 유채’보다는 3일 정도 빠르며, 지역적응시험 결과, ‘중모 7001’ 의 수량은 10a당 259 kg로 ‘한라유채’에 비해 16% 증수되었다. ‘중모 7001’의 기름함량은 44.4%이고, 올레인산의 함량은 69.1%로 ‘한라유채’에 비하여 1.7% 높았으며, 구루코시노레이트 함량은 1.87 mg/g으로 국제허용기준치인 3.0 mg/g 이하였다. ‘중모 7001’의 재배적지는 전남, 전북, 경남 및 제주도를 포함하는 우리나라의 서남부지역이다.

‘Jungmo 7001’ is a intermediate parent of rapeseed (Brassica napus L.) with wide adaptable, early flowering and large flower for the scenery and production of edible oil. ‘Jungmo 7001’ was developed from the cross between ‘[(Mangun × Bronowski) × Erra] × Tower’ as female parent and ‘RS10’ as male parent in 1984. ‘Jungmo 7001’ has green and middle parted leaf, yellowish flower and black seed coat. The flowering and ripening period of ‘Jungmo 7001’ were 3 days earlier than check variety 'Hanlayuchae'. The average flower size of ‘Jungmo 7001’ was significantly greater than flowers of 'Hanlayuchae'. The average seed yield of ‘Jungmo 7001’ was higher compared with 'Hanlayuchae' in local adaptability test. Total oil content of ‘Jungmo 7001’ was 44.4%. In fatty acid composition, ‘Jungmo 7001’ has no erucic acid. However, oleic acid content is 69.1%, which is 1.7% higher than 'Hanlayuchae'. ‘Jungmo 7001’ will be adaptable to southwestern area including Jeonllanam-do, Jeollabuk-do and Gyeongsangnam-do and Jeju island of Korea.

목차
Abstract
 서 언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육성경위
  고유 및 농업적 특성
  수량 및 품질특성
  적응지역 및 재배상의 유의점
 적 요
 사 사
 REFERENCES
저자
  • 김광수(국립식량과학원 바이오에너지작물센터) | Kwang-Soo Kim Corresponding author
  • 장영석(국립식량과학원 바이오에너지작물센터) | Young-Seok Jang
  • 이영화(국립식량과학원 바이오에너지작물센터) | Yong-Hwa Lee
  • 김철우(국립식량과학원 바이오에너지작물센터) | Cheol-Woo Kim
  • 최규환(전라북도농업기술원) | Kyu-Hwan Choi
  • 강달순(경상남도농업기술원) | Dal-Soon Kang
  • 김성택(제주특별자치도농업기술원) | Seong-Taek Kim
  • 최인후(국립식량과학원 바이오에너지작물센터) | In-Hu Ch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