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中・高 漢文敎科書 ‘漢字’ 領域 分析 및 構成 方向 摸索 KCI 등재

Analyzing the field of ‘Chinese character’ and seeking for the direction of composition in the classical Chinese textbook

중・고 한문교과서 ‘한자’ 영역 분석 및 구성 방향 모색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7906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400원
漢字漢文敎育 (한자한문교육)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The Korea Association For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s)
초록

‘漢字’에 대한 지식은 한문 능력의 핵심 資質이다. 한자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이 부족하면 漢文 讀解나 語彙 학습의 수행을 기대하기 어렵다. 한자가 지닌 본질적 가치와 더불어 학습자가 인식하는 한문 학습에서 한자 학습의 비중 또한 가볍지 않다. 학습자가 ‘한자’에 대해 지니고 있는 막연한 두려움과 학습 부담을 덜어내지 않으면, 성공적인 한문 학습을 기대하기 어렵다. 교과서는 교육과정을 준수하여 집필된다. 하지만 각 교과서마다 전개 방식은 다르다. 개별 교과서의 ‘한자’ 영역 구성 방식을 살펴보면 교육과정 실행의 大綱을 짐작할 수 있다. 교과서 구성 방식이 교수・학습 실행에 끼치는 영향은 至大하다. 한문 학습에서 차지하는 ‘한자’ 영역의 중요성과 교과서의 기능 및 역할을 고려할 때 교과서의 ‘한자’ 영역 구현 양상을 분석하고, 나아갈 방향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이 연구는 한문과 교육과정 ‘한자’ 영역의 교과서 구현을 상관성의 관점에서 분석하고, 한문과 교실 수업에 유효한 ‘한자’ 영역 구성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몇 가지 연구문제를 생성하였다.첫째, 중・고 한문과 교육과정과 한문 교과서의 상관성을 분석, 검토한다.둘째, 2009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에 따른 중・고 한문 교과서의 ‘한자’ 영역 구성 방식을 검토한다.셋째, 한문 학습자가 한문 학습의 주체라는 관점을 토대로 ‘한자’ 영역의 교과서 구성 방안을 모색한다.한문과 교육과정과 한문 교과서의 상관성은 주로 교육과정이 교과서에 변형되어 구현된 경우를 살펴보았다. 변형은 교육과정의 내용의 축소와 확장, 추가와 삭제로 구분하였다.중・고 한문 교과서의 ‘한자’ 영역 구성 방식은 교육과정의 ‘학습내용 성취기준’을 기준으로 단원 구성이 어떤 방식으로 구현되었는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중학교와 고등학교 교과서의 경우가 달랐다. 고등학교에 비해 중학교 교과서가 ‘학습내용 성취기준’을 세분화, 구체화하여 수록하고 있었다.본고에서는 ‘교실 수업’과 ‘학습자’를 고려한 ‘한자’ 영역의 교과서 구성 방안 몇 가지를 제안하였다. 첫째, 해당 교과서의 본문에 쓰인 한자의 뜻을 중심으로 편집한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목록을 별책 형태로 제시하여, 학습 자전의 대체 자료로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둘째, 신습한자 구성 방식과 제시 방식에 대한 검토가 요청된다. 셋째, 한자 쓰기 활동에 대한 다양한 접근이 필요하다.연구 결과 ‘한자’ 영역과 관련하여 향후 과제를 생성하였다.첫째, 한문 학습을 위한 한자 수준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둘째, 중・고 학습자의 한자 지식 실태에 대한 실증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한자 습득에 대한 기초 연구가 이루어 져야 한다.

When considering the importance of the field of ‘Chinese character’ and roles of textbook, we need to analyze the aspect of realization of the field and explore the direction we should go.This study aims to analyze realization of the field of ‘Chinese character’ in the textbook from a correlational perspective and to explore the way to design that of ‘Chinese characters’ that will be effective in actual classroom.To achieve the purposes of this study, several subjects for inquiry are selected.First, to analyze and review correlation between curriculum and classical Chinese textbook. Second, to review style of the field of ‘Chinese character’ in the textbook according to the revised curriculum in 2009. Third, to find the way to design the field of ‘Chinese characters’ based on the view that learners are main agents of learning.In the correlation between curriculum and classical Chinese textbook, I examined the transformation of curriculum in textbook. The transformation was classified according to reduction, expansion, supplement and deletion of the content. In the organization style of the field of ‘Chinese character,’ the way how to design units was examined.In this study, I suggested several plans to design the field of ‘Chinese character’ in textbook with consideration for actual classroom and learners. As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 proposed some problems awaiting solution as regards the field of ‘Chinese character.’

对'汉字'的知识是读解汉文的核心能力.缺乏基本汉字的知识就不能期待阅读汉文或进行研究词汇.如果汉字学习者对汉字有盲昧的恐怖,而且不能减轻学汉字的负担,就不能达到完美的汉文学习.所谓学校的课本是按照教育课程来编写的,但每个课本展开的教法都不一样.课本构造方式给教学的影响相当大.在学汉文考虑汉字的重要性与课本的功能,必要摸求分析汉字表现领域.本研究是在相关性的立场上分析汉文系教育课程里表现出'汉字'部分的课本.以及目的是在课堂教汉字时追求实用的汉字造成方案.第一、检讨中高汉文系教育课程与汉文课本的相关点.第二、根据2009修订汉文系教育课程检讨中高汉文课本里的'汉字'部分构造方式.第三、在汉文学习者是学汉文的主体的观点基础上谋求汉字部分的构造方式.这稿提出考虑'课堂教学'和'学习者'的几项汉字领域的课本构成方案.第一,提示以课本里文章写的汉字的意思为主编辑汉文教育用基础汉字目录,需要讲究利用代替学习字典的资料方案.第二,要求检讨新习汉字构造方式与提示方式.第三、需求试图在写汉字的多样方法.

목차
Ⅰ. 연구 문제
 Ⅱ. 한문과 교육과정 ‘한자’ 영역과 교과서의 상관성
 Ⅲ. ‘한자’ 영역의 교과서 단원 구성 양상
 Ⅳ. ‘한자’ 영역의 교과서 구성 방향
 Ⅴ. 남은 과제
저자
  • 金經益(蔚山女子高等學校 敎師) | 김경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