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분자육종법과 관행육종법을 활용한 고식미계통 선발효율성 비교분석 KCI 등재

Comparison of Marker-assisted Selection and Conventional Breeding Methods for Selection of High Palatability Ric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79160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육종학회지 (Korea Journal of Breeding Science)
한국육종학회 (The Korean Breeding Society)
초록

지금까지 밥맛특성이 우수한 품종을 육성하려는 노력이 부단히 진행되고 있으나, 저세대에서 미질을 평가하는 기준과 지표가 미흡한 실정이다. 고식미 품종육성과정 중 저세대에서 고식미계통을 선발하기에는 어려운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DNA분석에 의한 식미회귀식값을 자포니카 간의 교잡에서 유래된 저세대 계통선발에 적용하여 선발효율성을 관행육종법과 비교분석하였다. 9개 교배모본들을 군집분석하여 그룹간에 식미회귀식값과 밥의 윤기치의 연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의성이 있었다. 분자육종법과 관행육종법으로 계통을 선발한 결과 선발집단규모는 각각 34.4%, 38.6%로 비슷하였고, 분자육종법과 관행육종법을 병행하였을 때는 19.5%로 집단규모가 상당히 줄었다. 밥의 윤기치와 식미회귀식값은 집단간에는 차이가 있었으나, 육종방법에 따라서는 차이가 없었다. 식미회귀식값은 13개 DNA마커를 가지고 값을 구하게 되는데, 본 실험에 사용된 교배조합에서 양친 간에 다형성을 보이는 DNA마커는 3~7개로 상당히 적어, 식미회귀식값을 구하여 표현형을 설명하기에는 부족한 것으로 생각된다. 식미회귀식값에 의한 고식미계통선발을 하려면 교배조합별로 DNA마커조합과 식미회귀식값을 다시 산출해서 사용을 하거나, 식미회귀식에 활용되는 모든 DNA마커에 다형성을 보이는 교배조합을 선정해서 적용한다면 어느 정도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본 실험에 활용된 식미연관 13개 DNA마커에 의한 식미회귀식값은 모든 조합의 육종집단에서 선발에 활용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생각된다.

This paper compares selection efficiency for high palatability breeding lines using marker-assisted selection and conventional selection methods in rice. A total 4 cross combinations of japonica cultivars were selected using marker-assisted selection with a set of 13 DNA markers associated with grain quality and conventional selection methods in F3 and F5 generations assessing palatability using the Toyo taste meter. The multiple regression value with a set of 13 DNA markers was utilized as the marker-assisted selection index. The number of polymorphic markers among 13 DNA markers ranged from 3 to 7 between the parental cultivars. Among these cross combination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arker-assisted selection and conventional selection methods for selection of lines with high palatability. This demonstrates that marker-assisted selection by marker-based regression value might not be a good method for selection to apply the all breeding populations for high palatability line selection. While each method allowed equally effective selection of high palatability lines, the regression analysis using polymorphic markers will need to be re-calculated for each cross combination.

목차
Abstract
 서 언
 재료 및 방법
  자포니카조합 후대집단 및 계통육성
  분자육종법에 의한 선발
  관행육종법에 의한 선발
  밥의 윤기치 검정
  통계분석
 결과 및 고찰
  교배모본들의 식미회귀식값과 밥의 윤기치
  관행육종법에 의한 계통선발
  분자육종법에 의한 계통선발
  분자육종법과 관행육종법을 병행한 계통선발
  선발된 계통들의 농업적형질
  밥의윤기치와 연관된 분자마커
 적 요
 사 사
 REFERENCES
저자
  • 서정필(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Jung-Pil Suh Corresponding author
  • 조영찬(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Young-Chan Cho
  • 원용재(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Yong-Jae Won
  • 이정희(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Jeong-Heui Lee
  • 안억근(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Eok-Keun Ahn
  • 전재범(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Jae-Buhm Chun
  • 이점식(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Jeom-Sig Lee
  • 김명기(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Myeong-Ki Kim
  • 정응기(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Eung-Gi Jeong
  • 김보경(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Bo-Kyeong K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