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반수체 밀 육성을 위한 밀 및 옥수수 품종 반응 KCI 등재

Variation in Genotypic Responses of Wheat and Maize for Wheat Haploid Produc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79165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육종학회지 (Korea Journal of Breeding Science)
한국육종학회 (The Korean Breeding Society)
초록

밀×옥수수 원연교잡은 타 방법에 비하여 반수체 밀 육성에 매우 효과적이어서 외국에서는 밀 품종의 육종연한 단축 등을 위하여 많이 활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밀 품종(계통)과 옥수수 품종을 이용한 반수체 밀 생산체계를 구축하기 위하여 원연교잡에 사용하는 품종에 따른 반수체 생산 효율을 조사하였다. 자방친으로는 금강밀 등 총 5종의 품종과 5종의 F1계통을 사용하였고, 화분친으로는 강다옥 등 총 7종의 옥수수 품종을 사용하였다. 자방친으로 사용한 국산 밀 품종의 평균 종자 형성률, 배 형성률 및 반수체 식물체 재분화율은 각각 약 75%, 19% 및 8.4%이었다. 반수체 식물체 재분화율은 3.7∼9.8%의 분포를 보였는데, 조경이 가장 높았다. 밀F1 계통 자방친의 평균적인 종자 형성률, 배 형성률 및 반수체 식물체 재분화율은 각각 약 66%, 16% 및 6.6%이었다. 밀계통의 반수체 재분화율은 3∼10%의 분포를 보였으며 08WG074 계통이 가장 높았다. 한편, 7종의 옥수수 품종의 자방친(금강밀)에 대한 평균 종자 결실률, 배 형성률 및 반수체 식물체 재분화율은 각각 약 78%, 18%, 9.6%이었다. 반수체 재분화율은 7.6∼12.9%의 분포를 보였으며, 광평옥이 가장 높았다. 밀×옥수수 원연교잡에서 종자 결실률과 배 형성률은 자방친과 화분친의 품종에 따라 고도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이들 형질의 품종간 차이는 자방친 품종보다는 화분친인 옥수수 품종 사이에서 더 컸다. 본 연구에서 조사한 품종 중에서는 광평옥, 강다옥 및 강일옥 품종이 밀×옥수수 원연교잡의 화분친으로서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Doubled haploid (DH) system is an effective tool in improving breeding efficiency and has been widely applied in wheat breeding programs. Wheat x maize hybridization is used for the production of wheat DH because of its efficiency and ease of application. We carried out an experiment to investigate genotype effect of wheat (Triticum aestivum) and maize (Zea mays) on efficiency of wheat haploid production. In various wheat x maize crosses, ten wheat and seven maize genotypes were tested. Haploid embryos were rescued and cultured for plant regeneration. Average seed set, embryo formation and haploid regeneration of five wheat varieties in crosses with a pollinator cv. Gangdaok were about 75%, 19% and 8.4%, respectively. Their haploid regeneration ranged from 3.7∼9.8% and cv. Jokyoung showed highest regeneration. Average seed set, embryo formation and haploid regeneration of seven maize genotypes in crosses with a parent cv. Jokyoung were about 78%, 18% and 9.6%, respectively. Their haploid regeneration ranged from 7.6∼12.9% and cv. Kwangpyeongok showed highest regeneration followed by cvs. Gangdaok and Gangilok. Analysis of variance for seed set and embryo formation showed highly significant effects of wheat parents and maize pollinators, whereas their interaction effect was only significant for seed set. The effect of maize genotypes on these traits was greater than that of wheat genotypes. Consequently, cvs. Kwangpyeongok, Gangdaok and Gangilok were found to be better pollen donors among the genotypes tested in wheat x maize hybridization for wheat hybrid production.

목차
Abstract
 서 언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적 요
 REFERENCES
저자
  • 김영진(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Young-jin Kim
  • 손범영(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Beum-young Son
  • 최인덕(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Induck Choi
  • 현종내(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Jong-nae Hyun
  • 박광근(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Kwang-Geun Park
  • 윤성중(전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 Song Joong Yun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