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초등학교 평가와 기록에 대한 현상학적 탐구 KCI 등재

Evaluation and Recording Elementary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79650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내러티브와 교육연구 (Journal of Narrative and Educational Research)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The Korean Society for Narrative Education)
초록

학교생활기록부가 아동에 대한 평가자료 및 입시참고 자료로서의 그 중요성이 높음에도 불구하고 그것의 작성과정에 대한 교사들의 체험은 그동안 외면되어 왔던 경향이 있다. 이에 이 연구는 학교생활기록부 작성에 대한 교사들에 체험과 그것의 의미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현상학적 질적 연구방법이 사용되었으며 연구 참여자와의 인터뷰, 평가일지, 학교생활기록부 내용 등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졌다. 이러한 분석의 결과로 학교생활기록부 작성과정 속에 내재 되어있는 의미로서 ‘학교생활기록부에 대한 교사의 의미규정’, ‘학교생활기록부 작성에 대한 부담감’, ‘학교생활기록부 작성전략’, ‘또 다른 학교생활기록부’, ‘학교생활기록부 작성경험이 교사에게 주는 영향’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바람직한 학교생활기록부 작성과 관련된 정책 및 제도 수립에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이다.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Records is very important for evaluation and entrance into a school of higher grade. But We have little effort to discover the lived experience of the teacher’s students evaluation recording. So this study try to find the meanings of that. Finally, We find several theme of the lived experience. First, teachers have own identity of Students Record. Second, teacher feel pressed to record one’s student evaluation. Third, teacher use some strategies to record evaluation. Fourth, there are two different kinds of Students Record. Fifth, the experience of recording evaluation influence on teacher way that record students evaluation.

목차

 <요약>
 Ⅰ. 들어가며
 Ⅱ. 연구 방법
  1. 연구 참여자
  2. 연구 방법
  3. 타당도 작업
  4. 연구 윤리
 Ⅲ. 초등학교 학교생활기록부에 대한 교사들의 체험의 특징
  1. 교사는 학교생활기록부에 각자의 의미를 부여한다.
  2. 교사는 자신의 평가를 그대로 기록하는 것이 부담스럽다.
  3. 교사는 부담감에서 벗어나기 위한 전략을 사용한다.
  4. 학교생활기록부에 표기하지 않은 기록들이 존재한다.
  5. 학교생활기록부 기록에 대하여 여러 가지 경험이 교차한다.
 Ⅳ. 종합
 참고문헌
저자
  • 정상원(경산초등학교) | Sang-Won, Ju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