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완전단감 형질선발을 위한 SCAR 마커 개발 KCI 등재

Development of a SCAR Marker for Selection of Pollination-Constant Non-Astringent Trait in Persimmon (Diospyros kaki Thunb.)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8024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농업생명과학연구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Institut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초록

본 연구는 완전단감(PCNA)과 비완전단감(Non-PCNA)을 구별할 수 있는 분자표지의 개발을 위해 수행되었다. 총 400개 RAPD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28개 완전단감 품종과 32개 비완전단감 품종을 바탕으로 bulked segregant snalysis (BSA)를 수행하여 OPJ18 프라이머로부터 비완전단감군 특이적 RAPD 밴드를 찾아낼 수 있었다. 이 밴드는 PCR 클로닝과 염기서열분석을 통해 보다 분석이 간단하고 재현성이 높은 SCAR 마커(J18SCAR- 280)로 전환되었다. 또한, 불완전담감인‘태추’와 완전단감인‘자미시’간의 F1 분리집단을 이용하여 J18SCAR-280마커와 완전단감 형질간 유전적 연관성을 확인하였다. 향후 다양한 분리집단을 이용해 본 마커의 유용성 분석이 보다 정확히 이루어진다면 완전단감 품종개발을 위한 분자표지이용선발(MAS)이 가능할 것이다.

In the present study, DNA marker that differentiates PCNA from other non-PCNA was developed by bulked segregant analysis (BSA) using RAPDs. DNA samples obtained from 30 PCNA and 32 non-PCNA persimmon cultivars were bulked depending on the types of astringency loss. Four-hundreds RAPD primers were screened on bulked DNA samples and a non-PCNA-specific PCR band was obtained from OPJ18 primer. For marker conversion of the RAPD to simple and robust PCR-based marker, non-PCNA linked PCR band was cloned and a sequence characterized amplified region (SCAR) marker J18SCAR-280 was designed based on sequence variations. In addition, genetic linkage of J18SCAR- 280 to PCNA trait was validated by evaluating‘Jamisi’(PVNA) x‘Taishu’ (PCNA) -derived progenies segregating for the astringency trait. Although further investigations based on larger segregating populations, our results implied that J18SCAR-280 can be useful for marker-assisted selection of the PCNA trait.

저자
  • 박여옥(경상남도 농업기술원, 단감연구소) | Yu-Ok Park
  • 제희정(경상남도 농업 기술원 친환경연구과) | Hee-Jeong Jae
  • 황지현(부산대학교 원예생명과학과) | Ji-Hyun Hwang
  • 김성철(경상남도 농업기술원, 단감연구소) | Sung-Churl Kim
  • 이용재(부산대학교 원예생명과학과) | Yong-Jae Lee
  • 손병구(부산대학교 원예생명과학과) | Beung-Gu Son
  • 박영훈(부산대학교 원예생명과학과) | Young-Hoon Park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