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농촌지역 단위마을 내 탄소 유출입을 통한 탄소순환 분 KCI 등재

Analysis of Carbon Flow through the Carbon Cycle in Rural Ar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8025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300원
농업생명과학연구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Institut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초록

지구 온난화와 이상기후현상으로 인한 온실가스가 증가함에 따라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국가 단위의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이 중요해졌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평야 지역, 중산간 지역, 산간 지역의 탄소 순환 해석을 통하여 탄소의 흡수 및 배출의 해석을 통한 요인별 원단위를 분석하고 실제지역 구성 비율에 따라 원단위를 적용하여 해석해 보았다. 농촌지역의 탄소배출량을 조사한 결과 그 지역이 평야지역 일 때와 산간지역 일 때의 탄소의 흡수·고정·배출량은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평야지역의 경우 타지역에 비하여 축사에서 탄소 배출량이 많아서 탄소배출량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임야의 면적이 가장 적은 관계로 탄소 고정량이 가장 적게 나타났다. 중산간지역의 경우 차량에 의한 탄소 배출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임야 면적이 평야지역에 비하여 넓은 관계로 고정량이 높게 나타났으며, 산간지역은 넓은 임야면적 때문에 탄소 고정량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향후 어촌이나 도심지역으로 확대하여 비교·분석한다면 탄소의 흡수·고정·배출량을 관한 기초자료를 확보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e greenhouse gas was increased due to the global warming and abnormal climate, so the
greenhouse gas emission estimate of the national unit will be important. Therefore, in this study,
we estimate for the basic unit of carbon through a carbon absorption and emission factors, the
analysis was interpreted as the proportion of the actual area. Rural area was separated plains, hills and mountain areas and mountain areas and have analyzed the carbon cycle. Plains, hills and mountain areas and mountain areas of carbon absorption, carbon fixation, carbon emission were calculated differently. Because of a lot of carbon emission from the stables, plains region showed the highest carbon emission compared to other regions and owing to the amount of small forest area, it showed less amount of carbon fixed. Hills and mountain areas of carbon emission by the vehicle showed high value, and mountainous areas of the carbon cycle showed the highest of carbon fixation due to the wide forest area. From these results, if the fishing villages or urban areas will be analyzed carbon absorption, fixation and emission, it will be secured a base data.

저자
  • 최은규(경상대학교 생물산업기계공학과(농업생명과학연구원)) | Eun-Gyu Choi
  • 김치호(경상대학교 생물산업기계공학과(농업생명과학연구원)) | Chi-Ho Kim
  • 김종구(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공학부 에너지환경공학과) | Jong-Goo Kim
  • 유영선(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공학부 에너지환경공학과) | Young-Sun Ryou
  • 문병은(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공학부 에너지환경공학과) | Byeong-Eun Moon
  • 김현태(경상대학교 생물산업기계공학과(농업생명과학연구원)) | Hyeon-Tae Kim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