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청보리 발효사료 첨가가 비육돈의 성장, 도체형질 및 경제성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Effects of Supplemental Whole Crop Barley Silage on Growth Performance, Carcass Traits and Economic Value in Fattening Pig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8026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농업생명과학연구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Institut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초록

본 연구는 양돈농가의 사료비 절감을 위해 국내 대표 사료작물인 청보리(유연보리)를 이용하여 양돈용 일반배합사료에 첨가 가능성을 조사하고자 실시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청보리 발효사료는 총체보리를 밀
봉하여 사일리지 형태로 제조하여 보관하였고, 3mm 이하로 분쇄하여 시험사료로 이용하였다. 공시동물은 평균체중 77.71 kg인 3원교잡종 비육돈 72두를 공시하여 돈방 당 6두씩 3반복으로 실시하였다. 처리구는 일반배합사료(대조구)에 청보리 발효사료를 1%, 2% 및 3% 첨가하였고, 42일간 급여하여 종료하였다. 청보리 발효사료 급여는 성장 및 일당증체량에는 영향을 주지 않았지만, 청보리 발효사료 3% 첨가구에서 일일 두당 사료섭취량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p<0.05), 도체등급에서는 상위등급 출현율이 높았다(p<0.05). 경제성 조사에서 청보리 발효사료 첨가는 일일 두당 사료비를 약 0.55~8.65% 절감하였고, 특히 3% 첨가구에서 사료비 절감 효과가 가장 높았으며, 청보리 발효사료 2% 및 3% 급여구에서 도체가격이 각각 1.53% 및 6.25% 정도 높았다. 따라서 청보리 발효사료 첨가급여는 사료비 절감과 도체등급을 개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whole crop barley silage on growth performances, carcass traits and economic values in fattening pigs. Crossbred pigs (n=72) of 77.7±1.92 kg body weight were divided into 4 dietary treatments. Each treatment has 3 replicated with 6 pigs per replicate. The basal diet (C) was supplemented with 1.0 %(T1), 2.0%(T2) and 3.0%(T3) of whole crop barley silage (WCBS) and the pigs were fed experimental diet for 46 days. The growth performance was not affected (p >0.05) by diet types. The average feed intake was significantly (p <0.05) lower in T3 than in C and carcass grade improved (p <0.05) in T3 compared with the others. The daily diet cost were decreased by 0.55∼8.65% when supplemental WCBS were fed to crossed pigs. Carcass prices were increased by 1.53% and 6.25% when 2% WCBS and 3% WCBS. Therefore, supplemental WCBS was expected to improve swine farms income due to decreased diet cost and increased carcass prices in fattening pigs.

저자
  • 하지희(경남과학기술대학교 동물소재공학과) | Ji-Hee Ha
  • 이성대(축산과학원) | Sung-Dae Lee
  • 송영민(경남과학기술대학교 동물소재공학과) | Young-Min Song Corresponding author
  • 추교문(경남과학기술대학교 양돈과학기술센터) | Gyo Moon-Chu
  • 김삼철(경상대학교 축산학과(농업생명과학연구원)) | Sam Churl-Kim
  • 김회윤(경남과학기술대학교 동물소재공학과) | Hoi-Yun K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