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계절별 배추 원료의 최적 절임 조건 및 저장성 연구를 위한 기초 자료 제공을 위하여 계절별 절임배추의 물리화학적 및 미생물학적 특성 조사와 이들 특성의 상관성을 조사하였다. 계절별(봄배추, 여름배추, 가을배추 및 겨울배추) 절임배추의 pH와 적정산도의 경우 가을배추 시료가 6.02±0.04와 0.15±0.01%로 다른 계절의 절임배추 시료보다 pH는 약간 높고 적정산도는 약간 낮았다. 가용성 고형분 함량은 월동배추가 7.76±0.39%로 가장 높았고, 염도 함량은 계절별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총균수의 경우 여름배추가 다른 계절의 배추보다 유의적으로 많은 균수가 있었고 색도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조직감의 경우 경도(firmness)는 봄배추가 가장 높은 4.92±0.06 kgf였고, 단단한 정도(hardness)는 여름 배추가 11.71±0.53 kgf로 가장 높게 측정되었다. 한편 계절별 절임배추의 품질 특성간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계절별 절임배추와 가용성 고형분 함량, 경도와 1% 유의수준 유의적인 상관성이 있었다. 또 주성분 분석 결과 첫 번째 주성분(F1)과 두 번째 주성분(F2)는(은) 전체 데이터의 각각 35.59%와 27.28%의 설명력을 보여 주었고, 총설명력은 62.87%였다. 주성분 F1은 계절, 밝기, 가용성 고형분 함량, 배추 두께, 총균수와 젖산균 수였고, 주성분 F2는 절임배추의 피크 개수였다. 계절별 절임배추의 품질 특성을 바탕으로 계층적 군집분석 결과 봄배추, 여름배추 그리고 가을과 월동 배추로 3그룹으로 나뉘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계절별 절임배추의 경우 물리화학적 및 미생물학적 품질 특성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고, 품질 균일화와 고품질의 절임배추를 연중 생산하기 위해서는 각 계절별 배추의 품질 특성과 절임 적성에 관한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arried to investigate the physicochemical and micro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seasonal salted-Kimchi cabbage order to provide basic data for optimal salting and storage condition of seasonal Kimchi cabbage. Generally, fall season samples had slightly higher pH and acidity value than the other seasonal salted Kimchi cabbage. The soluble solids content of spring, summer, fall and winter samples were 5.95%, 6.18%, 6.29% and 7.76%, respectively. The salt content of all the seasonal salted Kimchi cabbage samples were insignificant. The number of microbial bacteria in the summer samples were generally much more significant than spring and winter sample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olor of seasonal salted Kimchi cabbage. As for the texture properties, the firmest samples in the surface rupture test were the spring samples (force: 4.92 kg), and the hardest samples in the puncture test were the summer samples (force: 11.71 kg). In the correlation analysis of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easonal samples, the soluble solids content and hardness of the seasonal salted Kimchi cabbage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at 1% significance level. Also, in th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F1 and F2 were shown to explain 27.28% and 35.59% of the total variance (62.87%), respectively. The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of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easonal samples, the sample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spring cabbage group, summer cabbage group and fall and winter cabbage grou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