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장기 조위자료를 이용한 한반도 권역별 미래 해수면 상승 추정 KCI 등재

Estimation of the Regional Future Sea Level Rise Using Long-term Tidal Data in the Korean Peninsul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80509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한국수자원학회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초록

본 논문에서는 기후변화로 인한 한반도 주요 권역에서의 미래 평균해수면 상승을 장기 조위자료를 사용하여 통계적으로 추정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먼저 5개 조위 관측소로부터 얻어진 장기 조위자료에 대한 비모수적 경향성 검정인 Mann-Kendall 검정을 통해 관측된 자료의 경향성을 검정하였으며, 이를 보다 정량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Bayesian 변동점 분석 기법을 적용하였다. 특히 이 연구에서는 4개의 미래 평균해수면 상승 시나리오와 5개 관측소의 지역별 평균해수면 상승 자료를 결합시키기 위하여 변동점 분석결과를 활용하였다. 제안된 절차는 미래 평균해수면 상승 시나리오의 시작년도를 결정함에 있어 18.6년의 주기를 사용하지 않고 변동점 분석결과를 사용함으로써, 지역적 특성을 효과적으로 반영할 수 있도록 개선되었다. 변동점 분석결과를 사용하여 한반도의 권역별 미래 해수면상승을 분석한 결과, 제주 권역(제주 조위관측소)이 가장 뚜렷한 해수면 상승을 나타냈다. 서해안 권역(보령 조위관측소)과 남해안 권역(부산 조위관측소)에서는 두 번째로 높은 해수면 상승의 증가가 추정되었으며, 마지막으로 남해안 권역(여수 조위관측소)와 동해안 권역(속초 조위관측소)에서 가장 낮은 해수면 상승의 증가가 추정되었다.

The future mean sea level rise (MSLR) due to climate change in major harbors of Korean Peninsula has been estimated by some statistical methods in this article. Firstly, Mann-Kendall non-parametric trend test to find some trend in the observed long-term tidal data has been performed and also Bayesian change point analysis has been used also to detect the location of change points and their magnitude quantitatively. Especially, in this study, the results from Bayesian change point analysis have been applied to combine 4 future MSLR scenario projections with local MSLR data at 5 tidal gauges. This proposed procedure including Bayesian change point analysis results can improve the step for the determination of starting years of future MLSR scenario projections with 18.6-year lunar node tidal cycle and effectively consider local characteristics at each gauge. The final results by the proposed procedure in this study have shown that the future MSLR in Jeju region (Jeju tidal gauge) is in the largest increment and also the future MSLRs in Western region (Boryeong tidal gauge) and Southern region (Busan tidal gauge) are in the second largest one. Finally, it has been shown that the future MSLRs in Southern region (Yeosu tidal gauge) and Eastern region (Sokcho tidal gauge) seem to be in the relatively smallest growth among 5 gauges.

목차
 Abstract  요 지  1. 서 론  2. 경향성 분석 및 변동점 분석이론   2.1 비모수적 경향성 검정 기법   2.2 베이지안 변동점 분석 이론  3. 자료의 경향성 분석 및 변동점 분석 결과   3.1 대상지역 및 자료의 특성   3.2 비모수적 경향성 분석 결과   3.3 베이지안 변동점 분석 결과  4. 한반도 권역별 미래 MSLR 추정 결과   4.1 Step 1 & 2 : 변동점 분석결과를 이용한 시작년도 결정   4.2 Step 3 & 4 : 미래 MSLR 시나리오의 구성 및 추정   4.3 Step 5 : 결과의 분석  5. 결 론  감사의 글  References
저자
  • 이철응(강원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교수) | Lee, Cheol-Eung
  • 김상욱( 강원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조교수) | 김상욱
  • 이영섭( 강원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석사과정) | 이영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