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가축분뇨 액비 시용이 국산밀 품종별 수량 및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The Effect of Liquid-Pig-Manure Application with Korea Wheat Cultivation on Yield and Feed Value in Upland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8051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농업생명과학연구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Institut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초록

국산밀 재배시 가축분뇨 액비를 시용하여 생육에 미치는 영향과 사료가치를 분석하여 우리밀 생산물의 소비다양화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용도별 우리밀을 선발하고 청보리로 사용되고 있는 영양보리를 대조구로 파종하여 생육 및 사료가치를 조사하였다. 각 작물별 파종 15일후 유묘출현율은 액비 처리구 화학비료 및 무처리구에 비해 2.4배 높았다. 또한 시험작물 모두 초장이 액비시용구에서 약 2배 이상 증가하였다. 월동 후 최고분얼기에는 밀이 영양보리에 비해 초장은 0.7∼1.8cm 작았으나 분얼수는 1.5∼2개가 많았다. 생체중의 경우 액비처리구에서 시험에 사용된 모든 밀이 영양보리에 비해 1.01∼1.11배 높았고 연백밀이 5,102kg 10a-1로 가장 많았다. 사료가치중 단백질 함량은 액비처리로 보리와 모든 밀 품종에서 유의성있게 증가하였고 조경밀이 9.19 %로 가장 높았다. NDF와 ADF 모두 청보리와 대등하거나 높았다. TDN은 금강밀이 69.86∼72.11 %로 가장 높았고 고소밀이 64.61∼66.07 %로 가장 낮았다. 시험전후 토양 특성은 가축분뇨 액비처리를 하였을 때 EC, 유기물, 유효인산 및 치환성 양이 함량이 증가하여 화학비료와 대등한 결과를 얻었다. 이상의 결과로 국산밀을 재배할 때 가축분뇨액비를 적절히 활용할 경우 재배단가를 낮추고 곡물밀의 공급이 과잉일 경우 사료용으로 공급하여 국산밀의 소비안정성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experiment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liquid-pig-manure(LM) on the growth and yield of Korean wheat and the possibility of consumption diversification of Korean wheat produce through the analysis of feed value. The growth and feed value of Korean wheat cultivars were compared with Youngyang barley that is used for whole-crop-barley as control. Fifteen days after sowing, the seedling emergence rate in the LM treatment plot showed 2.4 times as high as that in chemical fertilizer(CF) or in non-treatment plot. In addition, plant heights have increased two times or more in both crops of LM fertilizer plots. At the maximum tiller number stage after wintering, the plant lengths of the wheats were shorter by 0.7∼1.8cm, than that of Youngyang barley, but the tiller number was more by 1.5∼2. The fresh weights of all wheats used in the experiment after harvest in a LM treatment plots tended to be 1.01∼1.11 times higher than that of Youngyang barley, that of Yeonbaek wheat being highest as 5,102kg 10a-1. Regarding feed value, protein contents were increased in barley and all wheat cultivars by LM treatments, being highest in Jokyung wheat as 9.19%. Both NDF and ADF were equivalent to or higher than those of whole-crop-barley. TDN was highest in Keumkang wheat as 69.86∼72.11%, and lowest in Goso wheat as 64.61∼66.07%. Soil analysis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showed that the LM treatment increased the contents of EC, organic matter, available phosphorus, and exchangeable cations, which are the same result as the CF treatment. The results above demonstrated that the appropriate use of LM in cultivation of Korean wheat will reduce the production cost, and the supply of surplus wheat produce as feed grains use will be helpful in stabilizing the costs and consumption of the Korean wheat.

저자
  • 조광민(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 | Kwang-Min Cho
  • 이상복(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 | Sang-Bok Lee
  • 강천식(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 | Chun-Sik Kang
  • 백남현(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 | Nam-Hyun Back
  • 양창휴(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 | Chang-Hyu Yang
  • 이경보(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 | Kyong-Bo Lee
  • 박기훈(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 | Ki-Hoon Park
  • 허무룡(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원예학과(농업생명과학연구원)) | Moo-Ryong Huh
  • 박철수(전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작물생명과학과) | Chul-Soo Park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