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청보리와 유채 혼파 비율에 따른 수량성 및 사료가치 KCI 등재

Yield and Feed Value of Seed Blending Between Barley and Rap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8052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농업생명과학연구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Institut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초록

혼파 비율에 따른 청보리와 유채의 생육을 조사한 결과 청보리와 유채를 8:2 비율로 처리했을때 생육과 수량성이 우수하였다. 생체중은 청보리 단파에 비해 청보리와 유채 8:2 비율에서 11%로서 가장 높은 증수율을 나타내었다. 청보리와 유채 혼파에 따른 사일리지 제조 전 사료가치를 분석한 결과 조단백질 함량은 청보리 단파에서 6.0%를 보였으나 혼파 처리에서는 단파에 비해 0.5∼0.7%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다. 10a 당 가소화 양분 총량(TDN)을 조사한 결과 청보리 단파의 678kg/10a에 비해 9:1과 8:2 처리에서 725∼728kg으로 단파와 다른 혼파처리에 비해서 사료가치가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사일리지 제조 후의 혼파 비율에 따른 사료가치 조사에서도 상대적 사료가치(RFV)가 단파에 비해 101∼102로 9:1과 8:2 처리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청보리와 유채 수확시기별 생육과 수량성을 8:2와 7:3 혼합비율로 청보리 유숙기, 호숙기와 황숙기에 각각 조사하였다. 수확기별 청보리는 건물수량성에서 호숙기에 10a당 약 1.3톤으로 가장 많았다. 유채는 청보리 유숙기와 호숙기에 각각 10a당 약 264kg과 244kg이었고, 건물중은 청보리와 유채 모두 청보리의 호숙기와 황숙기에 4.9kg와 4.4kg으로 비슷하였다. 수확시기에 따른 품질분석을 수행한 결과, 조단백질 함량은 유숙기와 황숙기에 7.4∼7.7%로 우수하였다. TDN은 호숙기에 71.4%로 유숙기와 황숙기의 약 68∼70%에 비해 우수하였다. 다른 혼파비율인 7:3에서도 같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혼파시 호숙기경의 수확이 품질에서도 양호한 결과를 보여 청보리는 호숙기에 수확하는 것이 가장 유리할 것으로 생각된다.

To develop barley and rape seed blending cultivation technology for extension of whole cropforage production, we investigated the appropriate mixing rate and the harvest stage. The highest growth and yield were obtained when the seeding rate of barley 80% and rape 20% was carried out. Total dry-mass yield increased 11% in this treatment and protein content increased about 0.3 ∼0.6% in mixed treatments comparing to barley single seeding. In qualitative analysis of silage, also barley 90% or 80% and rape 10% or 20% mixed seeding were better than barley single seeding condition. Three barley maturing stages, milky, dough and yellow ripe, were tested to find out proper harvest time to increase the yield and forage quality in case of barley and rape mixed cultivation condition, Barley and rape culm length was higher in dough stage than other milky and yellow ripe stages. The dry-mass yield was better in dough and yellow ripe stages and it was same both barley and rape. The yield was dramatically decreased in milky stage. In feed value examination, protein content was higher in milky and yellow ripe stages than dough stage, however, TDN was better in dough stage. These growth, yield and feed value results were same both treatments barley 80%/70% and rape 20%/30% conditions.

저자
  • 조광민(국립식량과학원 간척지농업과) | Kwang-Min Cho
  • 신상현(국립식량과학원 맥류사료작물과) | Sang-Hyun Shin
  • 김경훈(국립식량과학원 맥류사료작물과) | Kyeong-Hoon Kim
  • 박철수(전북대학교 작물생명과학과) | Chul-Soo Park
  • 허무룡(경상대학교 원예학과(농업생명과학연구원)) | Moo-Ryong Huh
  • 우선희(충북대학교 식물자원학과) | Sun-Hee Woo
  • 박종철(국립식량과학원 맥류사료작물과) | Jong-Chul Park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