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호박과실의 성숙과정에 따른 항산화효소의 활성변화 KCI 등재

Changes in the Activity of Antioxidant Enzymes Depending on Ripening Levels in Cucurbita spp.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8053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농업생명과학연구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Institut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초록

본 연구는 서양계 단호박과 동양계 늙은 호박의 성숙과정에 따른 탄수화물의 축적 양상과 항산화효소의 활성 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한 결과, 종간 차이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단호박 과실의 건물률과 탄수화물은 수확기까지 지속적으로 높게 유지된 반면, 늙은 호박은 60일째까지 큰 변화 없이 단호박보다 낮았다. 이는 호박 종간에 과실의 성숙과정이 차이가 있음을 나타내었다. 두 종의 과실의 유리당을 비교 하였을 때, 늙은 호박 과실에서는 과당과 포도당이, 단호박 과실에서는 자당이 높았다. 착과 후 발육시기에 따른 호박 과실의 종간 항산화효소(SOD, HPX, APX) 발현 양상은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HPX의 경우 종간에 밴딩 패턴 차이와 더불어 시기에 따른 밴드 밀도에 차이가 있었으나, SOD와 APX 겔 활성은 호박 종간 패턴상의 차이는 없었지만 시기에 따른 발현 밀도 차이는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호박과실의 품질향상과 수확시기 판정 등에 이용될 수 있는 기초자료로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accumulation patterns of carbohydrate and changes in the activity of antioxidant enzymes depending on levels of ripening in Cucurbita maxima and Cucurbita moschata.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showed that differences between species were evident. Dry matter and total carbohydrates in Cucurbita maxima maintained continuously in a high levels until harvest stage. While in Cucurbita moschata stayed in a low levels until 60 days. The results indicated differences between species in fruit maturation. Fructose and glucose contents in fruits were higher in Cucurbita moschata, however the accumulation of sucrose were higher in Cucurbita maxima. There was considerable variability in antioxidant enzyme (SOD, HPX, APX) expression patterns in fruit of Cucurbita species. HPX banding pattern and banding density according to ripening levels in fruits of tested species were different. SOD and APX gel activity of banding pattern between Cucurbita species did not differ, but banding density in ripening times was different. SOD and APX gel activity of banding pattern between Cucurbita species were not different but banding density on maturity levels was different. Our results can be useful as a basic data on improvement of fruit quality and determination of harvest time of Cucurbita species.

저자
  • 김희은(경상대학교 원예학과) | Hui-Eun Kim
  • 황미란(경상대학교 원예학과) | Mi-Ran Hwang
  • 박동금(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 Dong-Kum Park
  • 허윤찬(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 Yoon-Chan Heu
  • 이희주(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 Hui-Ju Lee
  • 강남준(경상대학교 원예학과,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 Nam-Jun Kang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