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GIS를 활용한 소나무와 송이버섯의 산림취약성 평가 KCI 등재

Forest Vulnerability Assessment of Pine and Pine Mushroom Using GI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8056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200원
농업생명과학연구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Institut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초록

본 연구는 전라북도 산림을 대상으로 지역특성에 맞는 지자체 차원의 기후변화 적응정책을 마련함으로써 그 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해 필요한 선행절차인 취약성 평가를 수행하는 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전라북도 산림분야 실무 전문가 그룹을 대상으로 델파이(Delphi) 조사를 하여 지역특성을 반영한 취약성평가변수의 가중치를 산출하고 이를 이용하여 전라북도 시·군별 산림 취약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세부항목별 취약성 평가변수의 가중치에서 기후노출이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고 다음으로 민감도, 적응능력의 순서를 보였다. 또한, 시간에 따른 산림의 취약성 평가 결과, 전라북도 산림 취약성 평가 세부항목 대부분은 현재(2000년대)∼2020년대에 취약성이 감소하였다. 이후에는 2020년 대∼2050년대에 증가하다가 2050년대∼2100년대에 다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리고 가장 높은 취약성을 보이는 시간적 범위는 2050년대로 나타났다. 따라서 지역특성을 고려한 가중치를 이용하여 전라북도 산림의 취약성을 평가한 결과자료를 기반으로 기후변화에 따른 지자체 적응정책을 수립한다면 보다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는 정책이 마련되어 기후변화에 따른 적절한 산림 관리의 활성화가 이루어질 것이라고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vulnerability assessment of regional forests in Jeollabuk-d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performing the vulnerability assessment, the preceded process, which was needed to maximize the effectiveness by preparing the proper adaptation for region to climate change policy. Therefore, weight of variables for vulnerability assessment, showing the specificity of the region, was calculated through the Delphi Survey, targeted the group of forestry practitioners in Jeollabuk-do. From the results of analysis on the weight of variables for vulnerability assessment according to the proxy variables in details, the most effective variable was climate exposure, and the second and the third were sensitivity and ability of adaptation respectively. In addition, from the results on the forest vulnerability assessment, vulnerability was predicted to decrease from 2000s to 2020s, but to increase from 2020s to 2050s, and to decrease again from 2050s to 2100s in most ranges of vulnerability of the forest in Jeollabuk-do. Hence, the period showing the highest vulnerability was 2050s. Therefore, if the local government policy of adaptation of climate change, based on the result of vulnerability assessment of forest in Jeollabuk-do with the weight considering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was established, the policy to maximize the effect would be formulated, and the management of forest according to the climate change would be achieved appropriately.

저자
  • 임수정(전북대학교 산림환경과학과) | Soo-Jeong Lim
  • 김현준(전북대학교 산림환경과학과) | Hyun-Jun Kim
  • 이상현(전북대학교 산림환경과학과) | Sang-Hyun Lee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