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82

        4.
        202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동공 직경과 양안시기능이 양안 대비감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전신질환 및 안과질환이 없는 성인 남녀 38명을 대상으로 완전 교정 후에 사위도와 조절력, 조절래그, 조절용이성을 측정하였다. 대비감도는 측정 장비(MonCV3, Metrovision, France)를 이용하여 양안으로 정적 대 비감도와 동적 대비감도를 측정하였으며, 공간주파수는 0.8, 1.6, 3.2, 6.4, 12.8, 25.6 cpd에서 측정하였다. 동 공 직경은 조도에 따라 100, 10, 1, 0 cd/m2에서 측정하였다. 결과 : 원거리 사위도는 동적 대비감도 6.4 cpd에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r=0.373, p=0.043), 외사위도 가 증가할수록 동적 대비감도가 감소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조절 기능은 양안 정적 대비감도와 동적 대비 감도에서 모두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조도에 따른 동공 직경과 비교하였을 때 양안 정적 대비감도, 동 적 대비감도에서 모두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으나, 최대 동공 직경과 최소 동공 직경의 차이에서는 정적 대 비감도와 동적 대비감도 모두 1.6 cpd에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r=-0.393, p=0.016), (r=-0.367, p=0.046). 따라서 동공 직경의 변화가 큰 경우 낮은 주파수에서 대비감도가 감소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결론 : 원거리 사위도가 크거나 명소시와 암소시에서 동공 변화도가 큰 경우 완전 교정하더라도 시력의 질이 떨 어질 수 있고, 야간 선명도가 저하될 수 있다. 임상에서 안질환이 없고, 교정시력이 1.0이 나와도 시력의 만족도가 떨어지는 경우에는 대비감도 검사를 고려해야 될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5.
        202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현재의 문화 교육이 지니는 근본적인 문제는 과거와 현재, 자국과 타국의 문화를 이분법적으로 바라 보고 개별적 정보 위주의 접근 방식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 논문의 목표는 한국의 전통 문화에 대한 반성적 성찰을 통해 바람직한 문화 교육의 방향을 모색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인문학적 인 관점, 비교문화적인 관점, 통시적인 관점을 적용하여 문화와 예술을 아우르는 종합적인 안목을 확보 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상호 문화 역량과 문화 수용 능력을 제고하기 위하여 문화 현상 간의 비교를 시도하였다. 본론에서는 두 단계로 나누어 논의를 진행하였다. 첫째, 한국 영웅 서사의 연원과 현대적 활용 가능성을 모색함으로써 총괄적 논의를 위한 단서를 마련하였다. 전통 서사의 문화적 의미와 미학 적 원리에 대한 재인식을 통해 인류의 문화가 보편성의 차원에서 상호 소통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현대 디지털콘텐츠에 활용된 문화 요소들을 중심으로 한국인의 생활과 예술 분야에 나타나는 문화적 정체성과 시대적 변용 양상을 고찰하였다. 성숙한 문화는 다양성의 가치를 인정하는 것에서 출발하며, 문화 요소 전반을 관통할 수 있는 감식 능력과 소통 능력이 요구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바람직한 문화 교육은 창의적인 미래 문화를 이끌어 갈 수 있는 능력을 길러 주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5,800원
        7.
        2025.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mong various contributors to urban heat islands, anthropogenic heat flux (AHF) plays a particularly important role during cold waves due to increased energy demand.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urban weather characteristics of the Seoul Metropolitan Area, as simulated by an urban canopy model, through an AHF sensitivity experiment for the region during a cold wave. We used the Weather Research and Forecasting-Urban Canopy Model (WRF-UCM) with prescribed AHF values for January 2017 to conduct the experiment. Sensitivity experiments were conducted with AHF scaled to 0, 1, 2, and 4 times the baseline value. The model underestimated the air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by about 1 o C and 20%, respectively, and overestimated the wind speed by 1.5ms1 without AHF. Doubling the anthropogenic heat flux led to a notable decrease in the root mean square error and mean bias error, particularly for temperatur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o more accurately reproduce urban weather conditions, larger amounts of anthropogenic heat flux should be prescribed during extreme cold events.
        4,600원
        8.
        2025.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노인환자를 돌보는 요양병원이라는 특수한 환경에서 정서 적, 윤리적 요인이 간호업무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요양병원 간호사의 공감역량과 윤리적민감성, 환자중심간호, 간호업무수행 간의 구 조적 관계를 파악하고, 간호업무수행 향상을 위한 이론적, 실무적 기초자 료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국내 요양병원간호사 230명 을 편의표집 하였으며, 연구결과로 모형 적합도는 χ²/df=165.517, CFI=.945, TLI=.928, RMSEA=.092로 양호하였으며, 공감역량은 윤리적민 감성(β=.478, p<.001)과 환자중심간호(β=.716, p <.001)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간호업무수행(β=.431, p <.001)에는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윤리적민감성은 간호업무수행(β=.188, p <.001)에, 환자 중심간호는 간호업무수행에 매개요인으로 작용하였다(β=.477, p <.001). 간호업무수행 향상과 환자중심간호를 실천하기 위한 간호인력 배치 기준 을 재정비하고, 다학제 팀의료 상호 협업 중심의 전인적인 돌봄 지원 체 계를 구축하는 것을 제시한다.
        8,300원
        9.
        2025.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만성 조현병 환자의 불안 민감성과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대상 은 K시에 소재한 정신건강증진센터 회원인 만성 조현병 환자 9명이다. 연구기간은 2023년 5월 2일부터 2023년 6월 22일까지 주 2회, 90분씩 총 16회기의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로는 불안민 감성, 사회적 기술척도와 DAS, K-HTP 그림검사를 실시하였으며, 회기 및 단계별 변화양상을 기술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5.0을 사용하여 사전과 사후 검사의 변화를 대응표본 t검정으로 비교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첫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만성 조현병 환자의 불안민감성 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만성 조현병 환자의 사회적 기술 전체, 자아통제, 협력 점수는 사전보다 는 증가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셋째, 질적 내용분 석 결과, 집단원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내재된 두려움의 정서를 수용하 는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주 요 시사점과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9,000원
        10.
        202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novel, ultra-high sensitivity electrochemical aptamer biosensor (EAB) was fabricated by immobilising gold nanoparticles (Au) on a nano-confined interface of N-doped carbon nanofibers/carbon fibers (N-CNFs/CFs). Gold nanoparticle-thiol (Au–S) conjugates, coupled with aptamer-specific recognition technology, were used to immobilise aflatoxin B1 (AFB1). The nanoconfined interface of N-CNFs/CFs provides more binding sites for Au with its unique spatial structure and electroactive surface area, enhancing the electrochemical performance of the matrix. Compared to the existing sensor detection limit, the limit of detection(LOD) of the EAB was approximately 6.4 pg/mL. The dynamic detection ranged from 10.0 to 1.0 × 108 pg/ mL. Furthermore, AFB1 was also successfully detected in Chinese Materia Medica decoction pieces(CMMDP) using the prepared EAB, with recoveries ranging from 96.18 to 112.87%. These results demonstrate the proposed EAB’s potential as a reliable tool for rapid and efficient detection of AFB1 in complex matrices.
        4,300원
        11.
        202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여자 대학생을 대상으로 거부민감성과 우울 간의 관계에서 자기침묵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 이 과정에서 자기조절의 조절된 매개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인천, 경기, 충청, 전라, 경 상 지역의 8개 대학에 재학 중인 여자 대학생 27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 사를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및 PROCESS Macro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거부민감성은 자기침묵을 매개로 우울 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자기조절은 이 매개경로에서 조절변인으 로 작용함이 확인되었다. 이는 자기침묵이 거부민감성과 우울 간의 관계 를 설명하는 중요한 심리적 기제로 기능하며, 자기조절 능력이 높을수록 우울 수준이 완화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여자 대학생의 감정 통제와 조절 능력을 증진시키기 위한 자기조절능력 신장 프로그램 등 적 극적 개입 전략을 제안하였다.
        6,000원
        12.
        2025.06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생활지원사의 감사성향과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민감성이 조절변인으로서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정신건강 증진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K도에 거주하는 생활지원사 218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빈도분석, 기술통계, 상관분석, 부트스트래핑 기반의 조절효과 분석을 통해 검토되었다. 연구 결과, 첫째, 생활지원사의 감사성향, 삶의 만족도, 민감성은 모두 중간 이상 수준으로 나타났 다. 둘째, 감사성향과 삶의 만족도, 민감성 간에는 유의한 정적 상 관관계가 확인되었다. 셋째, 감사성향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에서 민감성의 조절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러한 결과는 생활지원사의 삶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감사성향 증 진뿐만 아니라 민감성 수준에 따른 맞춤형 정서관리 전략이 병행되 어야 함을 알 수 있다.
        6,100원
        13.
        202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low-up in jointed concrete pavements refers to a type of distress caused by the excessive accumulation of compressive stress within concrete slabs, primarily resulting from internal expansion and elevated environmental temperatures. This phenomenon frequently leads to slab buckling and is challenging to predict in terms of both timing and location, thereby significantly threatening the long-term structural stability of the pavement. In the present study, the pavement growth and blow-up analysis (PGBA) model was employed to quantitatively predict the timing of blow-up events in jointed concrete pavements. The model estimates the maximum compressive stress within the slab throughout the pavement’s service life using input parameters such as reliability, climatic conditions, pavement structure, material properties, and expansion joint configurations. Subsequently, the model compares the estimated stress to the threshold stress associated with blow-up to determine the likely time of occurrence. A sensitivity analysis was performed on a range of design and environmental factors, including annual maximum temperature, annual maximum precipitation, coefficient of thermal expansion, ASR, pavement thickness, geometric imperfection, and expansion joint spacing and width. The influence of each factor on the predicted blow-up occurrence time was quantitatively evaluated. The analysis demonstrated that climatic conditions, pavement structure, material properties, and expansion joint characteristics, as considered in the PGBA model, collectively govern the timing of blow-up events. These findings offer critical insights for informing the design and maintenance strategies of jointed concrete pavements.
        4,900원
        14.
        2025.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여대생의 거부민감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정 서조절이 완충 역할을 수행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정서조절의 하위요인 (능동 전략, 지지추구 전략, 회피분산 전략)을 세분화하여 검증하였다. 이 를 위해 2025년 1월 9일부터 30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총 275부 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거부민 감성은 우울에 정적 상관을 보였고, 정서조절의 능동 전략과 지지추구 전략은 우울에 부적 상관을, 회피분산 전략은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능동 전략과 지지추구 전략은 유의한 조절효과를 보였으나, 회피분산 전 략은 조절효과가 유의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여대생의 거부민감성 이 우울로 이어지는 과정에 있어 능동 전략과 지지추구 전략이 심리적 완충 역할을 하는 데 효과적임을 확인하였고, 우울 완화를 위한 실천적 방향을 제시함으로써 연구의 의의를 둔다.
        6,600원
        15.
        202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몇 년 동안 높은 감도, 빠른 응답 및 쉬운 제작 공정을 갖춘 습도 센서가 상당한 주목을 받고 있다. 여기서는 PET 기판의 깍지낀 전극(IDE)에 감지 층을 증착하여 길이 대 직경의 종횡비가 낮고 (PVP-ZnO-1), 높은(PVP-ZnO-2) PVP 개질 ZnO 나노막대 센서(PVP-ZnO)의 쉬운 제작 공정을 보고 한다. PVP-ZnO-2는 PVP-ZnO-1 센서(41,647%)에 비해 85% 상대 습도(RH)에서 99,397%의 더 높은 정전용량성 습도 감도를 보였다. PVP-ZnO-2 센서는 또한 순환 습도 조건에서 응답시간 7초 및 복구시간 10초를 나타냈다. PVP-ZnO-2의 높은 습도 감도 성능의 이점을 활용하여 다양한 호흡 정도의 정전용량 변화와 모스 부호 메시징을 시연하였다. 이 연구는 높은 표면적을 갖는 고성능 나노소재 기반 습도 센서의 엄청난 잠재력을 보여준다.
        4,300원
        16.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본 연구는 우세안에 10%의 부등상을 유발한 상태에서, 대비감도, 입체시, 조절용이성, 폭주근점을 측정하고 안구운동과 독서 능력, 주시데이터를 정량적으로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법 : 교정시력이 양안 1.0 이상인 20대 성인 남녀 4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완전 교정한 후 우세안에 10% 부 등상 유발렌즈를 가입하고, 40 cm 거리에서 대비감도(Adult Near Contrast Test #587700), 입체시(Titmus fly test), 조절용이성(±2.00 D 플리퍼), 폭주근점을 측정하였다. 안구운동과 독서 능력 평가는 아이트래커를 이용하 여 측정하였다. 피검자와 디스플레이거리는 70 cm로 두었고, 주시 횟수, 주시시간, 평균주시시간, 홱보기 수, 홱보 기 폭, 눈 깜빡임 및 동공크기를 측정하였다. 독서 능력은 총 읽기 시간과 독서오류를 측정하였다. 결과 : 등상시와 10% 유발부등상시 상태에서 대비감도가 25, 5, 2.5%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0). 입 체시, 조절용이성, 폭주근점 모두 유발부등상시 때에 유의하게 증가 및 감소하였다(p<0.050). 안구 운동 변수 중 주시 횟수만 유발부등상시에 유의하게 증가되었다(p<0.050). 결론 : 안구 운동 평가에서는 주시, 독서오류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10% 유발부등상시는 독서 능력을 저하시 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연구에서는 자각적으로 느끼는 독서 어려움에 대한 설문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4,200원
        17.
        2024.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대학생의 타인 회피와 타인 갈등이 거부민감성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 한지를 검증하였고 그 검증된 결과를 중심으로 타인 회피와 타인 갈등이 대인관계 에서 회복될 수 있는 대안을 찾는 데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 경기, 인천지역의 대 학생 250명이다. 연구문제는 첫째, 타인 회피는 거부민감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 는가? 둘째, 타인 갈등은 거부민감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이다. 이 연구문 제에 따라 분석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타인 회피는 거부민감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에 관한 분석 결과에 서 타인 회피는 거부민감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거부민감 성은 자신이 거부당했다고 느낄 때, 타인에 대한 회피가 나타나게 되면, 친밀한 대 인관계를 형성하는데 장애 요인이 될 수 있고, 이는 왜곡된 인지·정서적 현상으로 나타날 수 있다. 타인 회피로부터 타인과의 친밀감을 형성할 수 있는 적응력과 그 상황을 잘 극복할 수 있는 인내심과 그 상황이 회복될 수 있는 탄력성을 기를 필요 가 있다. 둘째, 타인 갈등은 거부민감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에 관한 분석 결과에 서 갈등이 발생하는 것은 다른 사람과 관계를 형성하고 자신의 기대와 목표, 다른 사람에 대한 바람이 깨어질 때 야기되는 상호 대립이다. 대인관계에서 발생하는 갈 등은 스트레스를 불러일으키게 되고 오해나 불신을 낳게 되어 관계가 단절되는 등 부정적인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타인에 대한 인지·정서적 왜곡으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것으로서 이해와 수용, 배려와 용납 등 다른 사람과의 친밀 한 관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5,200원
        20.
        2024.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aime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ensemble optimal interpolation (EnOI) in improving the analysis of significant wave height (SWH) within wave models using satellite-derived SWH data. Satellite observations revealed higher SWH in mid-latitude regions (30o to 60o in both hemispheres) due to stronger winds, whereas equatorial and coastal areas exhibited lower wave heights, attributed to calmer winds and land interactions. Root mean square error (RMSE) analysis of the control experiment without data assimilation revealed significant discrepancies in high-latitude areas, underscoring the need for enhanced analysis techniques. Data assimilation experiments demonstrated substantial RMSE reductions, particularly in high-latitude regions, underscoring the effectiveness of the technique in enhancing the quality of analysis fields. Sensitivity experiments with varying ensemble sizes showed modest global improvements in analysis fields with larger ensembles. Sensitivity experiments based on different decorrelation length scales demonstrated significant RMSE improvements at larger scales, particularly in the Southern Ocean and Northwest Pacific. However, some areas exhibited slight RMSE increases, suggesting the need for region-specific tuning of assimilation parameters. Reducing the observation error covariance improved analysis quality in certain regions, including the equator, but generally degraded it in others. Rescaling background error covariance (BEC) resulted in overall improvements in analysis fields, though sensitivity to regional variability persisted. These findings underscore the importance of data assimilation, parameter tuning, and BEC rescaling in enhancing the quality and reliability of wave analysis fields, emphasizing the necessity of region-specific adjustments to optimize assimilation performance. These insights are valuable for understanding ocean dynamics, improving navigation, and supporting coastal management practices.
        4,6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