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만성 조현병 환자의 불안민감성과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효과 KCI 등재

The Effect of Group Art Therapy Program on Anxiety Sensitivity and Social Skills in Patients with Chronic Schizophreni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4407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9,000원
한국과 국제사회 (Korea and Global Affairs)
한국정치사회연구소 (Korea Institute of Politics and Society)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만성 조현병 환자의 불안 민감성과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대상 은 K시에 소재한 정신건강증진센터 회원인 만성 조현병 환자 9명이다. 연구기간은 2023년 5월 2일부터 2023년 6월 22일까지 주 2회, 90분씩 총 16회기의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로는 불안민 감성, 사회적 기술척도와 DAS, K-HTP 그림검사를 실시하였으며, 회기 및 단계별 변화양상을 기술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5.0을 사용하여 사전과 사후 검사의 변화를 대응표본 t검정으로 비교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첫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만성 조현병 환자의 불안민감성 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만성 조현병 환자의 사회적 기술 전체, 자아통제, 협력 점수는 사전보다 는 증가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셋째, 질적 내용분 석 결과, 집단원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내재된 두려움의 정서를 수용하 는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주 요 시사점과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 group art therapy program on anxiety sensitivity and social skills in individuals with chronic schizophrenia. The participants were nine individuals diagnosed with chronic schizophrenia, registered at a mental health promotion center in K City. The program was conducted twice a week for 90 minutes per session, over 16 sessions from May 2 to June 22, 2023. Anxiety sensitivity, social skills, DAS, and K-HTP drawing tests were used as assessment tools, and changes across sessions were also describ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5.0 with paired t-tests to compare pre- and post-intervention scor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rogram significantly reduced anxiety sensitivity. Although social skills, including self-control and cooperation, improved, the change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Qualitative analysis revealed positive emotional changes through group interactions that helped participants accept underlying fear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re discussed.

목차
논문요약
Ⅰ. 서론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도구
    3. 연구절차 및 모형
    4. 자료처리
Ⅲ. 연구결과
    1. 불안민감성 변화
    2. 사회적 기술 변화
    3. 집단미술치료 회기별 질적 변화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부록>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작품

저자
  • 이미선(경기대학교 대학원) | MiSun Lee (kyonggi University)
  • 이명숙(경기대학교 대학원) | MyungSuk Lee (kyonggi University)
  • 정재원(경기대학교 대체의학대학원) | JaeWon Jung (kyonggi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