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 of Rejection Sensitivity on Depression among Female University Students : Mediating Role of Self-Silencing and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Self-Regulation
본 연구는 여자 대학생을 대상으로 거부민감성과 우울 간의 관계에서 자기침묵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 이 과정에서 자기조절의 조절된 매개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인천, 경기, 충청, 전라, 경 상 지역의 8개 대학에 재학 중인 여자 대학생 27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 사를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및 PROCESS Macro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거부민감성은 자기침묵을 매개로 우울 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자기조절은 이 매개경로에서 조절변인으 로 작용함이 확인되었다. 이는 자기침묵이 거부민감성과 우울 간의 관계 를 설명하는 중요한 심리적 기제로 기능하며, 자기조절 능력이 높을수록 우울 수준이 완화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여자 대학생의 감정 통제와 조절 능력을 증진시키기 위한 자기조절능력 신장 프로그램 등 적 극적 개입 전략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whether self-silencing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rejection sensitivity and depression, and whether this mediation is moderated by self-regulation among female university students. A total of 279 female students from eight universities located across six regions in South Korea participated in the survey.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and the PROCESS Macro. The results showed that rejection sensitivity significantly predicted depression through self-silencing, and that the strength of this indirect effect varied depending on levels of self-regulat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self-silencing functions as a key psychological mechanism linking rejection sensitivity to depression, and that enhancing self-regulation may help mitigate depressive symptoms.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proposes active intervention strategies, such as programs designed to strengthen emotional control and self-regulatory capacity in female university stud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