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온실기초의 실태조사 KCI 등재

Current Status on the Greenhouse Founda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8057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농업생명과학연구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Institut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초록

본 연구는 온실기초 및 구조의 유지관리 기준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로 이용하고자 국내에 보급되어 있는 온실에 대해 전국지역을 대상으로 온실형태, 설치연도, 기초의 형태, 매립깊이 및 기초주변 지반의 관리여부 등에 관한 실태를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단동 및 연동온실의 경우, 가장 많이 시공되는 것은 각각 아치형 및 1-2W형 온실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온실시공 연도를 보면, 2000년 이전 온실의 경우에는 단동보다 연동 온실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고, 2000년 이후의 온실은 연동보다 단동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단동온실의 경우, 일반적으로 알고 있듯이 전체 72농가 중에서 파이프 매립형이 42농가(58.3%)로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동온실의 경우, 콘크리트원형 기초(THP 포함)가 42농가(55.3%)로서 가장 많이 시공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동 및 연동 온실의 경우, 매립깊이가 상대적으로 가장 높게 조사된 것은 각각 50∼59 cm 및 60 cm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단동 및 연동에 관계없이 전체적으로 가장 많은 것은 50∼59 cm이었다. 그리고 온실기초주변의 지반관리는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곤 실시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current state of greenhouses across the nation in terms of types, installation year, foundation type, embedded depth, and the maintenance of ground surrounding the foundation in order to provide basic data to establish a set of maintenance criteria for greenhouse foundation and structure. The findings were summarized as follows: The most installed types of greenhouse for single and multi-span greenhouses were the arch and 1-2W types. As for the year of greenhouse installation, the percentage of multi-span greenhouses was relatively higher than that of single-span ones before 2000, after which the percentage of single-span greenhouses was relatively higher than that of multi-span ones. As it is generally known, the most 42(58.3%) of total 72 farms adopted the pipe burial type for their single-span greenhouses. The most 42(55.3%) farms chose concrete circular foundation (including THP) for their multi-span greenhouses. Single- and multi-span greenhouses recorded the relatively deepest embedded depth of 50∼59 cm and 60 cm, respectively. The most popular depth in general was 50∼59 cm regardless of single- and multi-span greenhouses. There was no practice of maintaining the ground surrounding the greenhouse foundation except for special occasions.

저자
  • 최만권(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 Man Kwon Choi
  • 윤성욱(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 Sung Wook Yun
  • 김현태(경상대학교 생물산업기계공학과(농업생명과학연구원)) | Hyeon Tae Kim
  • 이시영(농촌진흥청 농업공학부 에너지환경공학과) | Si Young Lee
  • 윤용철(경상대학교 지역환경기반공학과(농업생명과학연구원)) | Yong Cheol Yoon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