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자두과원에서 성페로몬을 이용한 복숭아순나방, 복숭아순나방붙이, 복숭아심식나방의 발생 패턴 KCI 등재

Occurrence Patterns of Three Major Fruit Moths, Grapholita molesta, Grapholita dimorpha and Carposina sasakii, Monitored by Sex Pheromone in Plum Orchard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8071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200원
한국응용곤충학회지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한국응용곤충학회 (Korean Society Of Applied Entomology)
초록

경북의 자두 주요 생산지인 경산시와 의성군내 8개의 자두과원을 선정하여, 2010년과 2011년에 주요 심식나방류인 복숭아순나방, 복숭아순나방붙이, 복숭아심식나방의 발생상을 성페로몬 트랩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또한 경산지역에서는 과수원 내부와 외부에서 포획된 개체수 자료를 이용하여 내외부 발생량을 비교하였다. 경산에서 복숭아순나방과 복숭아순나방붙이 발생은 의성보다 약 1주일 정도 빠르게 나타났다. 복숭아순나방은 3월 하순에 발생을 시작하여, 4월 하순 최성기를 이루었으며, 이후 세대는 6월 중순, 7월 중순, 8월 중순에 성충 최성기를 보였다. 반면 복숭아심식나방은 두 지역간의 차이가 없었으며, 6월 상순에 발생을 시작하여 9월 중순까지 2-3회의 발생 최성기를 보였다. 복숭아심식나방의 경우 2010년은 전형적인 2회 최성기를 보였으나 2011년에는 3회 최성기를 보였다. 연간 복숭아순나방, 복숭아순나방붙이, 복숭아심식나방의 발생량비는 경산지역에서 63-47:16-35:20-18%였고, 의성지역은 51-46:18-13:31-36%로 나타났다. 복숭아순나방과 복숭아순나방붙이의 경우 과수원 내부와 외부에서 포획량의 차이는 없었다.

Fruit borers such as Grapholita molesta, G. dimorpha and Carposina sasakii are major pests of plum in Korea. Population densities and seasonal occurrence were monitored using the synthetic sex pheromone trap in Uiseong and Gyeongsan, two important major plum growing area in Korea. In 2010 and 2011, adults of G. molesta were caught from mid April with the peak of late April, and then undergone three more generations in Gyeongsan. Grapholita dimorpha appeared from late April and they showed three peaks until late September. Both Grapholita species occurred a few days later in Uiseong than in Gyeongsan where the latitude is 1° lower. There was no difference of the phenological occurrence of C. sasakii between Gyeongsan and Uiseong, showing the same patterns of two or three peaks. Population size was in order of G. molesta, G. dimorpha and C. sasakii with 63:16:20 and 47:35:18 in Gyeongsan and 51:18:31 and 46:13:36 in Uiseong, in 2010 and 2011 respectively.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numbers of Grapholita species caught in the trap installed inside and outside of the orchards.

저자
  • 정철의(안동대학교 대학원 생명자원과학과) | Chuleui Jung Corresponding author
  • 김영일((주)그린아그로텍) | Young-Il Kim
  • 안정준(안동대학교 농업과학기술연구소) | Jeong Joon Ahn
  • 라릿(안동대학교 대학원 생명자원과학과) | Lalit Prasad Sah
  • 정선아(안동대학교 대학원 생명자원과학과) | Jeong, Sun-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