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남한강유역 청동기시대 토기 연구 KCI 등재

A study of pottery on the Namhan River valley of bronze ag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8101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600원
韓國靑銅器學報 (한국청동기학보)
한국청동기학회 (Society for Korean Bronze Culture)
초록

본고는 남한강유역의 청동기시대 주거지에서 출토된 유물을 통해 토기문화를 정리한 것이다. 그간남한강유역에 대한 연구는 강원영서 또는 충청권에 편중된 연구로 인해 남한강유역 전체에 대한 연구가 미진했다.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는 남한강유역 전반을 대상범위로 설정하여 주거지에서 출토된 토기 문양의 각 속성을 기준으로 발생순서배열법을 통해 단계를 설정해 본다. 이후 토기기종과 AMS연대를 보완하여, 종합적인 편년을 설정함과 더불어 전개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남한강유역의 청동기시대 토기문화는 총 4시기로 구분할 수 있다.
조기후반은 돌대문계요소와 이중구연계요소가 이른 시기부터 등장한다. 전기전반이 되면 이중구연계요소와 공렬문계요소가 단독 또는 복합되어 나타난다. 전기후반에는 흔암리식토기를 중심으로단독문의 공렬문계요소가 확인된다. 후기는 공렬문계요소만 확인된다.
남한강유역 청동기시대 문화 전개양상은 조기후반에는 미사리식 토기문화가 남한강 상류에 분포한다. 전기전반에는 가락동식, 역삼동식 토기문화가 남한강유역 전 지역에 분포하고 있다. 전기 후반에는 가락동식 토기는 쇠퇴한다. 그리고 흔암리식 토기문화가 지속되는 가운데, 역삼동식 토기문화는 남한강유역 전체에 확산된다. 후기에는 남한강 하류와 상류 일부에 유적이 확인되며, 유적의 수가급감한다. 유적이 급감하는 이유로는 첫째, 발굴조사 자료의 부족. 둘째, 주민의 이동. 셋째, 문화의장기존속으로 나누어 살펴 볼 수 있다.
시·공간적으로 살펴보았을 때, 동북계와 서북계가 상류와 하류에 달리 나타나며, 이들 문화는 접점에서 공존하고 있다. 또한 후기에는 북한강유역과 공존하고 있는데, 이를 미루어 보아 남한강유역의토기 문화는 재지문화를 중심으로 주변의 문화와 접하였고, 주변문화를 재지화 하였다고 판단된다.

The object of this research is to evaluate the pottery culture of the Namhan River Valley throughartifacts excavated in Bronze Age dwellings. Research on the Namhan River Valley hasconcentrated on the Western Kangwon and Chungcheon regions. Due to these regional foci,research on the entire Namhan River Valley has been lacking. This study selects the entireNamhan River Valley as its focus and the time period is selected using occurrence seriation basedon the properties of pottery excavated from dwelling sites. The pottery types and stone tools arethen combined and recorded chronologically and supplemented with AMS dates. Afterwards,the distribution and changing patterns of the cultural remains are evaluated.
The pottery culture of the Namhan River Valley can be categorized into four time periods.
In the second half of the early Bronze Age, Doldaemun potteries and double-mouth-rimpotteries appear in the early periods. In the first half of the Bronze Age, double-mouth-rimpotteries and gongyeolmun potteries appear either alone or in combination. In the second halfof the former Bronze Age, Heunamri-type potteries appear mainly with single patterngongyeolmun pottery. In the later Bronze Age, only Gongyeolmun pottery appears.
When the Namhan River Valley is observed through time and space, the Northeast-types andNorthwest-types appear to be different in the upper and lower river regions, and these culturescoexist in overlapping areas. In addition, during the later Bronze Age, coexistence with peopleof the Bukhan River Valley occurs, and the pottery culture of the Namhan River Valley interactedwith that of the neighboring region centered around the pottery culture and spread the potteryculture to the neighboring culture.

목차
Ⅰ. 머리말
 Ⅱ. 유적의 분포
 Ⅲ. 유물의 분석
  1. 토기 문양
  2. 토기 기종
 Ⅳ. 편년 및 전개 양상
  1. 편년
  2. 시기별 분포와 전개 양상
 Ⅴ. 맺음말
저자
  • 辛壽和((재)강원고고문화연구원) | 신수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