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청동기시대 전기 취락의 구조와 성장 -충청지역 자료를 중심으로- KCI 등재

A Study on Structure and Growth of a Settlement in the Early Bronze Age -With focus on the Data on Chungcheong Area -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8102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8,000원
韓國靑銅器學報 (한국청동기학보)
한국청동기학회 (Society for Korean Bronze Culture)
초록

청동기시대 전기 취락의 구조와 변화과정을 통해 당시 취락사회의 성장과 그 배경에 대해 검토해보고자 하였다. 전기의 이른 단계에 소규모 취락단위로 이주해온 집단은 대규모 노동력을 필요치 않는 화전과 같은 농경방식으로 생계를 꾸려나갔던 것으로 생각된다. 이후 안정적으로 취락을 유지하고 자원예측성을 높이기 위해서 농경에 대한 의존도가 강화되고, 그에 따라 취락의 규모가 확대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아산만지역의 전기 유적에서 확인되는 탄화미 등의 자료로 보아, 당시에 벼재배는일반적 현상으로 생각된다. 천안 백석동 취락의 규모와 구조로 볼 때 수전의 경영도 가능하지 않았을까 추정해 보았다.
당시의 소규모 취락의 경우, 주변의 취락사회와의 관련 없이 단독으로 영속하기 어려웠을 것이며,주변의 취락사회와의 상호관련성을 유지하기 위한 네트워크가 형성되었을 가능성도 고려할 수 있을것이다. 또한 취락사회의 안정을 얻고 생태적·사회적 압력을 극복하기 위해 개별 취락조직의 확대를꾀하였을 것으로 보았다. 이렇게 형성된 대형취락들은, 일정한 공간적 거리를 두고 분포하는데, 사회경제적 요인에 의한 것으로 추정하였다.

This study is aimed at examining the growth and its background of the then settlement societyin the early bronze age.
It is thought that the immigrant group, who moved to a small scale settlement unit in an earlystage of the bronze age, earned a livelihood by farming method like slash-and-burn farming thatobviated large-scale labor force.
It's presumed that afterwards, in an effort to maintain a settlement stably and enhance resourcespredictability, reliance on farming came to be intensified, and accordingly, the size of a settlementmight have been expanded. Judging from the data like carbonized rice which is identified in theearly ruins of the bronze age in Asan Bay area, the then rice cropping is thought to be a generalphenomenon.
In the light of the size and structure of the settlement at Baeseok-dong, Cheonan, this studypresumed that it might have been possible to manage a rice paddy with water as well.

In the case of the then small-scale settlement, it might have been difficult to continue to existpermanently single-handedly without having to do with its neighboring settlement society.Nevertheless, it might be possible to taking into account the possibility of network formation formaintaining interrelationship with its neighboring settlement society. In addition, this study madea guess that people in the early bronze age might have obtained stability of settlement societyand attempted at expansion of individual settlement organizations in order to overcomeecological, social pressure. The large settlements formed like this pattern were distributed at acertain spatial distance, which, this study presumed, might have been attributable to asocioeconomic factor.

목차
Ⅰ. 머리말
 Ⅱ. 청동기시대 전기 취락의 구성단위와 편년
  1. 청동기시대 전기 취락의 구성단위
  2. 청동기시대 전기의 편년
 Ⅲ. 청동기시대 전기 취락의 구조와 성장 과정
  1. 청동기시대 전기 취락의 구조와 성장
  2. 청동기시대 전기 후엽 취락의 구조와 특징
  3. 공지와 초대형 주거의 사회적 의미
 Ⅳ. 청동기시대 전기의 농경생산과 취락 연결망
  1. 청동기시대 전기의 농경생산
  2. 청동기시대 전기 취락의 연결망
 Ⅵ. 맺음말
저자
  • 나건주(금강문화유산연구원) | Na, Geon-j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