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직무요구와 직무소진 그리고 리더십 유형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KCI 등재

An Empirical Study on the Relationships among Job Demand, Job Burnout and Leadership Styles of Leader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81152
  • DOIhttps://doi.org/10.14396/jhrmr.2014.21.4.2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300원
인적자원관리연구 (Journal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Research)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Korean Academy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초록

본 연구는 직무소진의 직무요구-자원모형을 바탕으로 직무요구, 그리고 거래적 리더십과 변혁적 리더십이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들, 그리고 이들의 상호작용항들이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하기 위해 중국에 진출한 한국기업에 근무하는 중국인 300명을 대상으로 실증조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요구는 대체로 직무소진을 증가시킨다. 둘째, 거래적 리더십의 예외에 의한 관리만이 직무소진을 유의하게 증가시키고, 예외에 의한 관리는 직무요구와 직무소진간의 정(+)의 관계를 강화한다. 셋째, 변혁적 리더십의 모든 차원들은 직무소진을 유의하게 감소시킨다. 그러나 변혁적 리더십은 직무요구와 직무소진간의 관계를 강화시키거나 완화시키는 효과가 없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기존 연구들에서 직무자원으로 널리 실증 연구된 상사의 사회적 지원 대신에 상사의 리더십 유형이 더 적절할 수 있음을 말해준다. 상사의 리더십 유형은 직무소진을 줄여주는 바람직한 상호작용패턴과 지양해야할 상호작용패턴을 모두 포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고, 본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empirically examined job demand-resource model of job burnout, based on the sample of 300 Chinese employees. Transactional a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re selected as job resource variables. Job demand means role overload. Job burnout includes emotional exhaustion and detachment from the job.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s; 1) job demand is positively related to job burnout (including emotional exhaustion and detachment from the job). 2) management by exception dimension of transactional leadership is positively related to job burnout. management by exception positively moderates the relationships between job demand and job burnout. 3) all dimensions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re negatively related to job burnout. They have no moderation effects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job demand and job burnout. Based on the results,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findings are discussed, and recommendation for future research are provided.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1. 직무소진의 직무요구–자원 모형
  2. 직무자원으로써 리더십 유형
  3. 연구모형과 가설
 Ⅲ. 연구 방법
  1. 자료수집 및 표본
  2. 변수의 조작적 정의와 측정도구
  3. 분석과정
 Ⅳ. 분석결과
  1. 기술통계량과 상관관계
  2. 가설검증
 Ⅴ. 결 론
  1. 연구결과 및 시사점
  2.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방향
 참 고 문 헌
 Abstract
저자
  • 하성욱(한성대학교 경영학부 조교수) | Ha, Seong Wook 교신저자
  • 장함자(한성대학교 경영학과 석사) | Zhang, Han Z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