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댐 붕괴 홍수로 인한 하류부 인명피해 예측 KCI 등재

Prediction of Loss of Life in Downstream due to Dam Break Flood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81675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한국수자원학회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초록

본 연구에서는 기왕의 댐 붕괴 사례와 인명손실 결정인자들의 분석으로부터 유도된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댐 붕괴 홍수파의 특성이 고려된 인명피해 예측을 위해 미국의 LIFESim 모형에 적용된 인명손실 모듈과 유럽연합에서 제시한 사망률 함수에 의한 인명손실 추정기법이 제시되었다. 극한홍수조건(PMF)하에서 댐 붕괴로 인한 대상지점의 수심, 유속 및 홍수도달시간 등과 같은 홍수특성치는 1차원 수리학적 모형인 FLDWAV에 의해 모의되었으며 범람수심을 이용하여 홍수취약 지역을 예측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경보, 대피 및 피난처에 대한 가능성을 고려함으로써 홍수위험에 노출된 인구수를 추정하였다. 이러한 홍수위험 노출인구에 대한 사망률(치사율)을 추정하기 위해 홍수위험지역을 상이한 지대로 세분하여 지대별 치사율 또는 사망률 함수를 결정하였으며 이로부터 최종적인 사망자수를 예측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제시된 댐 붕괴 홍수의 인명피해 예측기법은 향후 확률론적 홍수 시나리오에 적용하여 하류부의 홍수위험도를 정량적으로 평가하고 저감대책을 수립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In this study, to estimate loss of life considered flood characteristics using the relationship derived from analysis of historical dam break cases and the factors determining loss of life, the loss of life module applying in LIFESim and loss of life estimation by means of a mortality function were suggested and applicability for domestic dam watershed was examined. The flood characteristics, such as water depth, flow velocity and arrival time were simulated by FLDWAV model and flood risk area were predicted by using inundation depth. Based on this, the effects of warning, evacuation and shelter were considered to estimate the number of people exposed to the flood. In order to estimate fatality rates based on the exposed population, flood hazard zone is assigned to three different zones. Then, total fatality numbers were predicted after determining lethality or mortality function for each zone. In the future, the prediction of loss of life due to dam break floods will quantitatively evaluate flood risk and employ to establish flood mitigation measures at downstream applying probabilistic flood scenarios.

목차
1. 서 론
 2. 댐 붕괴 홍수파에 의한 인명피해 예측기법
  2.1 인명손실의 결정요인
  2.2 LIFESim 모형의 인명손실 모듈에 의한 방법
  2.3 사망률 함수에 의한 인명손실 추정기법
 3. 인명피해 예측기법의 적용
  3.1 댐 붕괴 홍수파의 하류부 홍수추적
  3.2 댐 붕괴 홍수파에 따른 하류부 인명피해 예측
 4. 결 론
 감사의 글
 References
저자
  • 이재영((주)신한 P&D 기술연구소 소장) | Lee, Jae Young 교신저자
  • 이종석(전북대학교 대학원 토목공학과 객원연구원) | Lee, Jong Seok
  • 김기영(한국수자원공사 K-water 연구원 기반시설연구소 책임연구원) | Kim, Ki You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