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고분자태양전지를 위한 π-conjugated 고분자전해질의 연구동향

Review of π-conjugated polyelectrolytes for application of polymer solar cell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8170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화상학회지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Imaging Science and Technology)
한국화상학회 (Korean Society for Imaging Science and Technology)
초록

고분자 태양전지는 초박막, 재료의 유연성,가공성이 용이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실리콘 태양전지나 염료감응형태양전지에 비해 낮은 에너지 변환효율을 보이고 있다. 고분자태양전지의 변환효율을향상시키기 위해 유기반도체 물질의 개발, 각 층간의 계면, 활성층의 모폴로지 또는 상분리, 소자의 구조, 전극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가 필요하다. 그 중, 본 글에서는 활성층과 음극 사이의 계면 (전자 수송층)으로 적용되는 π-conjugated 고분자전해질의 역할 및 적용된 예에 대해 기술하고자 한다.

Polymer solar cells have many advantage of ultra-thin, flexibility, process and so on, but also have disadvantage of low efficiency compare to silicon solar cells or dye-sensitized solar cells. To improve the power conversion efficiency of polymer solar cells, it needs to study of various fields such as materials design, interfacial engineering, morphology, phase separation, device engineering, and electrodes. In this report, we will discuss the potential applications of π-conjugated polyelectrolytes for polymer solar cells as an interfacial layer.

목차
1. 서 론
 2. 본 론
  2.1. 소자 내에서 π-conjugated 고분자전해질의 역할
  2.2. fluorene 유도체를 기본구조로 하는 고분자전해질
  2.3. thiophene 유도체를 기본구조로 하는 고분자전해질
 3. 결 론
 참고문헌
저자
  • 조미영(부경대학교 고분자공학과) | Mi Young Jo
  • 김주현(부경대학교 고분자공학과) | Joo Hyun K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