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한국 콩 29품종의 물 소모량에 대한 수분이용효율 산정 KCI 등재

Determination of Water Use Efficiency on the Amount of Water Use for 29 Korean Soybean Cultivar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83047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육종학회지 (Korea Journal of Breeding Science)
한국육종학회 (The Korean Breeding Society)
초록

본 연구는 한국 콩의 물 소모량에 대한 수분이용효율 산정을 위하여, 한국에서 육성된 우량품종 29개와 미국의 대표적인 내한발 품종인 PI416937을 대상으로 토양수분함량 조건을 대조구(최대 포장용수량의 50%)와, 한발처리구(최대 포장용수량의 25%)로 달리 하였을 때, 콩 30품종에 대한 처리 14일 후의 물 소모량, 건물중, 상대생장율을 이용하여 수분이용효율을 산정하였다. 콩 30 품종의 영양생장기 후반 기간 동안 요구되는 하루 당 콩 한 개체의 평균 물 소모량은 대조구에서는 183 mL/plant/day로, 한발처리구에서는 64 mL/plant/day이었으며, 콩 영양생장기간 중 포장용수량 25%의 한발 시, 콩이 가용할 수 있는 토양수분량은 포장용수량 50% 대비 약 63%가 감소하였으며, 30개 품종의 평균 건물생산량이 약 37% 감소하였다. 콩 30품종의 물 소모량은 한발처리 후 건물중과 고도의 정의 상관을 보였으며, 상대생장율과 수분이용효율과는 한발처리구에서만 약한 상관성을 보였다. 콩 30품종의 상대생장율과 수분이용효율은 대조구와 한발처리구 모두에서 고도의 정의 상관을 보여, 상대생장율이 높은 품종이 수분이용효율이 높으며, 수분이용효율이 높은 품종이 상대생장율이 높은 콩의 수분특성을 제시하였다. 30개 품종의 평균 수분이용효율은 대조구에서 2.1 g/L를, 한발처리구에서 2.9 g/L를 보여, 한발 시 콩의 수분이용효율이 향상되었음을 제시하였다. 한발처리구에서 수분이용효율이 PI416937(3.5 g/L)보다 높은 한국 콩 품종은 대풍콩(3.8 g/L), 단백콩(4.0 g/L), 금강콩(3.8 g/L)이었다.

Water use efficiency (WUE) is considered as an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drought tolerance in crop plant. This study was carried out for determination of WUE of 29 Korean soybean cultivars including PI416937, a representative drought tolerant cultivar in USA, under two different soil water contents, the sustaining 50% of maximum field capacity on control and 25% on drought treatment for 14 days at the late of vegetative growth stage. The WUE of whole plant (g/L) was determined using the measurement of the amount of water use (mL/day/plant), dry weight (g/plant), and relative growth rate (RGR) at 14 days after treatment (DAT). The mean amount of water use of 30 soybeans was 183 and 64 mL/plant/day at control and treatment, respectively, which was decreased 63% of water use under 25% of maximum field capacity. The mean dry weight of 30 soybeans of treatment was decreased 37% compared with that of control. The amount of water use of 30 soybeans was highly correlated with dry weight at 14 DAT, while it was weak correlated with RGR of treatment and not correlated with WUE. The WUE was highly correlated with RGR at control and treatment. The mean WUE of 30 soybean was 2.1 and 2.9g/L at control and treatment, respectively. It means that WUE is increased under drought condition and is the variable characteristics depend on soil water content. The WUE of PI416937 was 3.5g/L at treatment. This study suggested WUEs of 29 Korean soybean cultivars and that the higher WUE Korean cultivars than PI416937 were 3 cultivars, Daepoong (3.8g/L), Danbeak (4.0g/L), and Keumkang (3.8g/L).

목차
Abstract
 서 언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토양수분함량에 대한 콩 30품종의 물 소모량
  물 소모량과 건물생산과의 관계분석
  한국 콩 29품종의 물 소모량에 대한 수분이용효율 산정
 적 요
 사 사
 REFERENCES
저자
  • 박세준(국립한경대학교 식물생태화학연구소) | Sei Joon Park Corresponding Author
  • 박종용(국립한경대학교 식물생태화학연구소) | Jong Yong Park
  • 엄기철(세종 데이터해석연구원) | Ki-Cheol Eom
  • 문중경(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전작과) | Jung-Kyung Mo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