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원예치료가 장애아동 부모의 심리상태에 미치는 영향 -양육스트레스, 자아존중감, 스트레스대처 및 사회적 지지를 중심으로 KCI 등재

Effect of Horticultural Therapy on the Psychological State of the Parents of a Child with a Disability - Focus on Parenting Stress, Self-Esteem, Coping, and Social Support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83105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인간식물환경학회지 (Journal of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인간식물환경학회 (Society For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초록

본 연구는 ‘러브정원’원예치료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장애아동을 가진 부모들이 겪는 심리 내적인 양육스트레스, 자아존중감, 스트레스대처 및 사회적 지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 본 결과 원예치료 프로그램 실시 후 양육스트레스 수준은 평균 14.9(t=8.04) 감소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자아존중감 측정 결과 3.5(t=-8.04) 증가되었다. 스트레스 대처 검사에서 실험군의 경우 원예치료 프로그램 실시 후 9.55(t=-6.478)로 증가되었으며, 사회적지지 검사에서도 실험군은 프로그램 실시 후 18.2(t=12.82) 증가되어 통계적으로도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원예치료 프로그램이 장애아동을 가진 부모들이 겪는 양육스트레스, 자아존중감, 스트레스대처 및 사회적지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각 회기별 활동에서 참여자들은 자신의 능력 내에서 계획된 결과물에 대한 성공적인 성취감과 만족감이 주요 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사료되었다. 원예활동에서의 식물을 다루며 끊임없이 변화하는 생명의 역동성과 그에 대한 책임감을 재인식하게 되어 새로운 요구에 대한 질 높은 양육을 위한 자신의 변화를 가져온데 대한 결과이고, 성공적인 결과물에 따른 자아존중감의 향상은 물론 참여자들 간의 공통적인 문제에 대한 의사소통과 정보교환 등은 양육스트레스의 감소를 가능하게 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that can have a positive impact on parenting stress of parents with disability children. Horticultural therapy is using plants may change the dynamism and sense of responsibility life for the new requirements for high-quality parenting is to reassure him for their own. To evaluate the effect of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s, parenting stress, coping,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scale for pre-and post-tests were conducted twice. Horticultural Therapy Checklist rating for each session, the subjects evaluation, activities evaluation, and therapist evaluation, the assistant therapist evaluation. Study has shown parenting stress levels of the experimental findings, average 14.9(t = 8.24) point reduction, self-esteem were measured 3.5(t = -8.04) point increases ,stress coping were measured 9.55(t = -6.48) point increased and social support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average score is 18.2(t = -12.82) point increased statistically significant was recognized. Therefore, it was revealed that parenting stress positive impact on the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faced by parents with children with disabilities. Also it can be activities from each session, the participants planned deliverable within their ability for successful accomplishment and satisfaction feel and thus led to a reduction of parenting stress, improved self-esteem, increased Stress coping and social support.

저자
  • 한미애(단국대학교 대학원 보건학과) | Mi Ae Han Corresponding author
  • 한경희(단국대학교 대학원 보건학과) | Kyung Hee Han
  • 서정근(단국대학교 환경원예학과) | Jeung Keun Su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