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업무공간의 이용자 선호도 조사를 통한 실내녹화공간 표준유형 제안 KCI 등재

A Proposal for Indoor Greening Standard Type, through a Survey of the Users Preferences in Working Spac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83129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인간식물환경학회지 (Journal of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인간식물환경학회 (Society For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초록

본 연구는 외피녹화와 달리 실내녹화는 공간이용 고객의 요구나 민감도가 중요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이용자의 선호도 및 트렌드 조사를 통하여 식생선정, 공간점유, 공간 배치, 디자인 유형 등을 업무공간에서의 실내녹화 공간 표준유형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설문에 응답한 응답자의 업무공간은 현재 90.4%가 식물을 가지고 있었고, 그중 ‘주업무공간’과 ‘입구, 현관’에 많이 위치하고 있었다. 실내녹화의 형태는 화분형태가 주를 이루었으며, 실내녹화에 대한 선호도도 높았다. 세부공간은 ‘주업무공간’, ‘휴게공간’에 녹화를 하는 것을 선호하였고, 2~3개소를, 빈 바닥면적의 1/10~1/5에 바닥과 벽에 녹화하는 것을 선호하였다. 또한 화분형태로, 목재 재질을 사용하여 마감하고, 자연석과 조명을 첨경물로 사용하는 것을 선호하였다. 사용하는 식물은 2~3종을 관엽과 꽃을 혼합배식하는 형태를 선호하였으며, 중간크기의 밝은 잎을 가지고, 20~50cm의 크기에 가로세로 풍성한 형태의 식물을 사용하는 것을 선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업무공간의 ‘주업무공간’은 공간의 구분과 함께 심리적 안정을 줄 수 있는 공간으로, ‘휴게공간’은 심리적 안정과 육체적 건강을 도모할 수 있는 공간으로 표준유형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실내녹화의 설계에 적용 공간유형별 사용자의 요구도를 반영한 디자인을 활용할 수 있는 표준유형을 제안하였으며, 이는 실내녹화를 도입할 시 이용자들의 선호를 좀 더 적극적으로 반영할 수 있는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향후에는 실질적인 설계 가이드라인을 제시할 수 있는 연구의 진행도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request and the sensitive reaction of the indoor space users have important influence on indoor greening compared to outdoor greening. Therefore, the focus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standard types of indoor greening on behalf of plant selection, spatial deployment, and design. The study was conducted by both users preference and trend survey of different working indoor spaces. Most surveyed working spaces have indoor plant with 90.4%, the plants are placed in the main working place and in entrance. The main forms of plant deployment were planter, which indicates the preferable form of indoor greening. Among the space types, indoor greening was most favored in the main working space and resting space. The indoor greening was conducted in 2~3 places and 10% to 20% of the floor area on average besides wall greening. The planter were covered with woody materials and additionally with natural stone and lighting. As for the applied plants, 2~3 plant species were applied for their foliage and flowers. The favorable plant types were ones with bright green leaves and 20~50㎝ size, and abundant plant volume.

저자
  • 신상희(한국건설기술연구원) | Sanghee Shin Corresponding author
  • 유미(서울여자대학교) | Mi Yoo
  • 김연미(한국건설기술연구원) | Yeonmee K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