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다문화 이주여성의 원예활동 프로그램이 직업관 및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Effect of Horticultural Activities on Occupational View and Career Effect of Horticultural Activities on Occupational View and Career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83136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인간식물환경학회지 (Journal of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인간식물환경학회 (Society For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초록

다문화 이주여성들이 선호하는 원예활동 및 원예 식물에 대한 이해와 다문화 이주여성들의 선호하는 직업에 대한 인식을 기반으로 하여 원예활동 중에서도 여성 대상의 취업활동으로서의 가능성이 높은 화훼장식 활동을 중심으로 15회기의 원예활동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이에 따른 직업관 및 진로 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실내에서 식물 기르기, 실외에서 식물 기르기, 꽃장식 및 공예활동, 식물을 이용한 요리, 식물이 있는 공간 산책 및 공부 등의 5가지 원예활동 영역에서 모두 취업교육을 받은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하여 선호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통계적인 유의성이 있게 큰 차이를 나타낸 항목은 식물이 있는 공간 산책 및 공부로 나타나 취업교육과 원예활동 선호도에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볼 수 있었다. 선호하는 원예식물을 조사한 결과, 일이년초가 가장 높아, 원산지가 열대 및 아열대 기후에 속하는 식물을 선호하는 경향이 높은 것을 통해 이전 본국에서 보았거나 길러본 경험이 있는 식물들을 선호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를 15회기의 원예장식 프로그램구성에 연계 하였다. 화훼장식 분야에서 필요로 하는 직업기술을 포함한 원예활동 프로그램을 통하여 이주여성들의 직업관에 있어 내적 영역에서는 지적자극, 경영관리 부분에서 큰 변화를 나타낸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외적영역에서는 독립성 분야에서 큰 변화를 볼 수 있었다. 진로성숙도에 있어서는 확신성, 목적성, 준비성, 결정성 영역에서도 변화를 보였으나 독립성영역에서 가장 큰 변화를 볼 수 있었다. 이를 통해 화훼장식에 중점을 둔 원예활동이 다문화 이주여성의 직업관 및 진로성숙도에 긍정적인 변화를 주었음을 알 수 있었다. 끝으로 이러한 진로성숙도와 직업관에 긍정적인 연구결과를 토대로 향후 더욱 본격적인 원예활동 진로 프로그램을 구상하는 추후 연구결과가 필요할 것이다.

Based on horticulture activities that migrant women prefer and their understanding in horticulture plants and preferred job, the 15th horticulture programs have been implemented especially focused on floral design having high employment opportunity for wome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ee how these activities influenced to occupational view and vocational maturity of migrant women. 5 differed horticultural sections - indoor planting, gardening, flower decoration and craft works, cooking with plants, taking a walk in green place and studying – were organized. A group which took employment training in all 5 sections was likely to have higher preference than a group that did not take the training.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shown in the section of taking a walk in green place and studying, which indicates that this section has high relation with employment training and horticulture preference. According to the result of survey on preferred horticultural plants, one or two year plants are most preferred and ones whose origins are tropical and subtropical zone are highly preferred. This implies that the migrant women prefer plants they have seen or raised in their countries. This result was reflected in composing the 15th horticulture programs. According to the horticulture programs including occupational techniques required in floral design field, it turned out that significant changes in the migrant women’s occupational view happened in intellectual stimulus and management in internal part and independence in external part. When it comes to vocational maturity, there were changes in conviction, preparation and determinacy but biggest change occurred in independence. This shows that horticultural activities focused on floral design influenced positively to occupational view and vocational maturity of multi-cultural migrant women. Therefore, follow-up researches are needed to compose horticultural job programs based on positive research result of vocational maturity and occupational view in the future.

저자
  • 곽혜란(서울교육대학교) | Hyeran Kwack
  • 장유진(서울교육대학교) | Eujean Jang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