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다문화 아동의 원예활동 및 식물 선호도 분석 KCI 등재

Analysis of Characteristics and Preference of Horicultural Activities and Plants of Multicultural Childre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83137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인간식물환경학회지 (Journal of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인간식물환경학회 (Society For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초록

본 연구는 다문화 아동과 내국인 아동을 대상으로 식물·원예활동에 관한 인지적 특성과 선호도를 비교분석하여 학교 및 관련기관 등에서 다문화 아동 및 다문화 통합원예교육을 실시하기 위한 기본자료로 활용하고자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경기도 안산의 다문화시범학교 및 서울, 경기 일원의 다문화 가정 아동 30여명과 서울시 초등학교 4학년 50여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설문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적인 원예활동 및 식물에 관한 선호는 모두 내국인 아동이 다문화 아동에 비해 높았다. 이는 내국인 아동의 원예에 관한 익숙성 및 선호가 다문화에 비해 높음을 나타내 주는 결과로 고려되었다. 둘째, 국적 여부에 상관없이 아동들의 식물재배경험 유무는 아동기의 원예활동 및 식물선호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다문화 아동들은 내국인 아동이 식물을 인지적 측면으로 고려하는 경향이 좀 더 높은 반면, 친구와 같은 존재 및 감정이입의 대상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넷째, 다문화아동과 내국인 아동의 원예활동을 조사해 본 결과, 다문화 아동은 실내정원, 식물견학 활동을, 내국인 아동은 화훼장식 활동 등을 선호하였다. 다섯째, 다문화아동과 내국인 아동의 식물선호도를 조사해 본 결과, 다문화 아동은 작물, 화목(열대과일), 관엽류를, 내국인 아동은 작물, 화목(열대과일), 화단식물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eferences of characteristics of plants, horticulture, and view of nature amo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Korean children in order to provide basic data to develop a horticultural educational program for multicultural children and cultivate educational materials. In an effort to fully achieve the purpose, the investigator conducted a survey with 30 children from pilot schools for multiculture in Ansan, Gyeonggi Province and multicultural familie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and with 60 fourth-graders from elementary schools in Seoul. The analysis results of their responses were as follows: First, Korean children showed higher preference of horticultural activities and plants compared with multicultural children. Second, children showed the highest level of recognition and preference for flowering plants, which are the most popular, easily accessible in daily life, and splendid, except for the factor of nationality. Third, multicultural children regarding plants as their friends and having a great need for someone they could feel intimate with like little siblings. The findings show that plants can be the objects of empathy amo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Fourth, preferences for horticultural activities were also examined among multicultural and Korean children. As a result, multicultural children had a preference for indoor gardens and field trips to see plants, which indicates that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have fewer opportunities for field trips and experiential study than Korean children and are much interested in the world. Fifth, preferences for horticultural plants were also surveyed among multicultural and Korean children. The result reveals that Korean children had a greater preference for all plants than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저자
  • 곽혜란(서울교육대학교) | Hyeran Kwack
  • 장유진(서울교육대학교) | Eujean Jang Corresponding author
  • 이혜영(서울교육대학교) | Hyeyoung L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