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현대 웨딩홀화훼장식의 통일성 표현기법의 인식과 선호도 KCI 등재

The Recognition and Preference of Unity Expression Methods in Modern Wedding Hall Floral Desig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83222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인간식물환경학회지 (Journal of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인간식물환경학회 (Society For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초록

본 연구는 현대 웨딩화훼장식의 통일성(Unity) 표현기법에 대한 인식과 선호도를 일반인과 전문가에게 설문하여 비교분석하였다. 통일성 표현기법의 개념을 인식하고 있는 경우는, 일반인 집단에서 인식하고 있는 경우는 로 전문가 그룹이 통일성의 개념에 대하여 화훼장식전문가 그룹과 일반인 그룹의 인식에 대한 집단의 인식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웨딩 화훼장식의 표현기법에 있어서 통일성에 대한 중요성 인식 정도는 전문가 그룹이 일반인 그룹 보다 더 높았다. 통일성 표현기법을 사용한 웨딩화훼장식의 선호도를 분석한 결과, 화훼장식가와 일반인 모두 통일성 표현기법의 웨딩화훼장식을 선택하였다. 오브제의 통일성을 이룬 화훼장식을 선택한 그룹은 이었으며 그렇지 않은 경우는 오브제를 전체 웨딩 화훼장식과 통일시킨 경우에 있어 선호 경향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오브제 통일이 되었을 때 전체적으로 일체감을 이룬다는 이유를 가장 많이 선택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고급스럽고 세련됨이 였고 유니크 하면서도 로맨틱하다는 이유가 였고 유행하는 스타일로 나타났다. 색채의 통일성을 이룬 화훼장식을 선택한 그룹은 91%(143명)이었으며 그렇지 않은 경우는 9%(14명)로 나타났고 색채를 통일시킨 것을 선택한 이유로는 고급스럽고 세련됨이 가장 비율이 높았으며 유니크 하면서도 로맨틱하다, 고급스럽고 세련된, 유행하는 스타일 순으로 나타났다. 화훼소재의 통일성을 이룬 사진을 선택한 그룹은 83%(130명)이었으며 그렇지 않은 경우는 17%(27명)로 나타났으며 화훼소재를 전체 화훼장식과 통일시킨 경우에 있어 선호 경향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In this study, it was compared and analyzed that recognition and preference of unity expression methods of wedding flower design by asking both experts and non-experts. The result indicated that 87% of experts (68 respondents) have the recognition of unity expression methods, while 42% non-expert group (33 respondents) showing for the concept. In the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unity in wedding flower design, the expert group is higher than the ordinary one. From the result of preference of wedding flower design using unity expression methods, flower decorators and ordinary people selected wedding flower design with the methods. 113 (72%) of the total respondents choosed the wedding flower design, where the unity of objet was realized, while 28% (44 respondents) not selecting of it and for the reasons of it, 50 respondents (44%) thought the unity of objet contributes to an overall sense of unity of flower design and 48 respondents (42%) thought that is luxurious and refined and 13 (12%) for its unique and romantic and 2 (2%) for its popular style, respectively. 143 (91%) of respondents selected flower design with color unity and 14 respondents (9%) did not select because that is luxurious and refined (90 respondents, 63%), overall sense of unity(33 responts 23%), unique and romantic (17 respondents 12%) and popular style (3 respondents, 2%), respectively. 130 (83%) of the total respondents choosed pictures having unity of flower materials and 27 respondents (17%) did not select, which means many prefer a harmonious unity between those and overall design and the reason was its overall sense of unity (63 respondents, 49%), unique and romantic (33 respondents, 26%) and luxurious and refined(29 respondents, 22%) and popular style(4 respondents, 3%), respectively. In the survey of preference of unity of forms, 139(89%) of the total respondents selected flower design with unity of forms and 18 respondents(11%) did not select and the reason was that is luxurious and refined(84 respondents, 61%), an overall sense of unity(37 respondents, 27%), unique and romantic(16 respondents, 12%) and popular style(1 respondent, 1%), respectively. It is revealed in the study that unity expression methods in modern wedding flower design are getting popular and favored by both experts and general people.

저자
  • 김현민(고려대학교 생명환경과학대학원) | Hyun Min Kim
  • 장유진(고려대학교 생명과학대학원) | Eu Jean Jang Corresponding author
  • 홍종원(고려대학교 생명과학대학원) | Jong Won Hong
  • 박천호(고려대학교 생명과학대학) | Chun Ho Pa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