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암모니아가스에 의한 난과 식물의 피해증상 KCI 등재

Injury Symptoms of Some orchids by Ammonia Gas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83310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인간식물환경학회지 (Journal of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인간식물환경학회 (Society For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초록

본 연구는 난과 식물의 암모니아 피해 증상을 정확하게 알기 위해 팔레놉시스, 심비디움, 덴파레, 온시디움을 이용하여 밀폐된 챔버에서 수행하였다. 암모니아 가스처리 농도는 0, 30, 60, 100, 300, 400mg・L-1으로 하였다. 암모니아 가스 처리 조건은 온도 26±1.9℃, 습도 82.4±11.2%로 15시간 처리하여 피해 증상과 정도를 조사하였다. 하루 중 가스 피해 증상이 심한 시간대를 알기 위해 암모니아에 민감한 온시디움를 이용하여 200mg・L-1 농도로 하여 가스 노출시간을 2, 4시간씩 6등분하여 처리하였다. 팔레놉스시는 암모니아 300mg・L-1 이상이 되어야 피해가 발생하며 심비디움, 온시디움, 덴파레는 100mg・L-1 이상에서 피해가 발생하였다. 특히 온시디움이 가장 민감하였다. 가스 농도가 증가할수록 피해엽율은 증가하였는데 400mg・L-1에서는 83.4%였다. 엽록소 형광측정값(Fv/Fm) 또한 감소하였다. 하루 중 시간대별 피해증상은 주간 06~18시에 주로 나타나며 10~16시가 심하게 나타났다. 잎의 주요 피해 증상은 잎이 회갈색으로 급격히 마르며 가장 자리가 말리고 피해 받은 잎은 점점 옅은 황갈색으로 변하거나 건조되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injury symptoms of orchids by ammonia gases, four ordhid plants(Phalaenopis, Cymbidim, Dendrobium phalaenopsis, Oncidium) were exposed to ammonia gases in an enclosed growth chambers. The gas treatments consist of six different ammonia gas concentrations(0, 30, 60, 100, 300, and 400mg・L-1) and plant exposure of 15 hours with 26±1.9℃ air temperature and 82.4±11.2% relative humidity. The effect of time to gas exposure in a day was also evaluated by treating the plants with 200mg・L-1ammonia gas every 2.4 hours for Oncidium(sensitive to NH3). Phalaenopis leaves showed symptoms of injury at >300mg・L-1 ammoniagas. Cymbidim, Oncidium, Dendrobium phalaenopsis, leaves showed symptoms of injury at >100mg・L-1. Oncidium was especially sensitive to ammonia gas. As the gas concentration increased, the rate of injury increased and reached up to 83.4% when the gas concentration was at 400mg・L-1. Also maximum quantum yield of photo-system II(Fv/Fm) were decreased. The injury to ammonia gas exposure in a day was recorded during the period 6 am - 6 pm wherein the most severe were noted during the time 10 am -4 pm. Major leaf injury symptoms was dried rapidly, rolled the edge of a leaf then drying or changing light yellowish brown color.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및 고찰
  Ⅳ. 적요
  Ⅴ. 인용문헌
저자
  • 이동수(국립원예특작과학원) | Dong Soo Lee
  • 정순진(국립원예특작과학원) | Sun Jin Jeong
  • 이영란(국립원예특작과학원) | Young Ran Lee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