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한국과 독일에서 사용하고 있는 신부화의 형태 및 소재분석 KCI 등재

Analysis on Materials and Shapes of Bridal Bouquet used in Korea and German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83395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인간식물환경학회지 (Journal of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인간식물환경학회 (Society For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초록

본 연구는 한국과 독일의 신부화 형태와 사용되는 소재를 비교 분석해 봄으로써 한국의 신부화에 좀 더 나은 발전을 가져다 줄 시사점을 찾기 위하여·2001년부터 2007년까지 신부화 작품집을 2001년, 2004년, 2007년에 조사하였다. 작품집은 우리나라의 화훼장식협회 중에서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매년 정기적으로 작품집을 발간하고 있는 한국꽃예술작가협회와 한국플라워디지인협회에 소속된 회원들의 작품집에서 조사하였다. 독일의 경우 독일상공부에 소속 된 유일한 플로리스트협회인 Fachverband Deutscher Floristene. V. Bundesverband (FDF)와 독일에서 책의 발행부수가 가장 많은 플로리스트 전문잡지사 Bloom에서 출간된 신부화작품집에서 조사하였고, 한국과 독일 모두 254작품을 각각 조사하였다. 한국과 독일의 신부화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절화류(1,2년초화, 난류, 구근류 등)의 종류와 신부화를 제작하는데 선호하는 꽃의 색상과 한 작품에 사용되는 소재수, 관엽식물(일반관엽, 양치류, 난류, 야자과, 고사리과 등) 및 신부화의 화형를 조사하였다. 한국의 신부화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꽃을 2001, 2004, 2007년로 모두 장미를 가장 많이 사용하는 꽃으로 나타났는데, 장미는 독일의 신부화에서도 가장 많이 사용하는 꽃으로 나타났다. 이어 한국에서는 덴파레, 나리 의 이용도가 높게 나타났으나, 독일에서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독일에서 장미에 이어 많이 사용이 되고 있는 칼라, 수국은 한국에서는 이용률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의 신부화에 가장 많이 사용된 관엽식물은 2001년도에는 디펜바키아 였고, 2004, 2007년도에는 루모라인 것으로 나타났다. 독일의 경우는 2001, 2004, 2007년 모두 아이비를 가장 많이 이용하였고, 아이비 다음으로 많이 사용한 대치기린, 갈락스, 헤우케라 로 한국에서 거의 이용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에서 신부화 한 개를 만드는데 들어가는 소재수를 2001, 2004, 2007년 도별로 보면 3종류, 5종류, 4종류 소재를 사용한 것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독일에서 신부화에 사용하고 있는 소재수를 보면 2001, 2004, 2007년도 모두 8종류의 소재를 이용한 신부화가 가장 많았다. 한국에서 가장 많이 사용한 화형을 2001, 2004, 2007년도로 알아본 결과 원형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는 삼각형과 케스케이드형의 선호도가 높았다. 독일은 2001, 2004, 2007 년 모두 폭포형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어 초승달형과 식물생태적인 형의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자연의 모습을 반영하여 만든 독일의 다양한 화형에 사용되고 있는 소재들의 종류와 한 작품에 이용되는 소재 종류들은 한국의 신부화에 새로운 소재들의 선택과 사용에 효과적인 변화를 가지고 올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This research has been done with every three years’ regular basis based on the bride bouquets collections from 2001 to 2007, in order to find the Implication to develop the bride bouquets analyzing and comparing the materials and shapes which are using for the bride bouquets between Korea and Germany. For this research, the collections from members of Korea Flower Design Association and Korea Flower Artistes Associations were selected. These two associations, the most famous flower association with long history in Korea, have published their own collections every year since the beginning. In case of Germany, the collections of ‘Fachverband Detscher Floristen e. V. Budesverband (FDF)’ which is only flower association in Germane Ministry of Commerce, and the collection published by ‘Bloom’ which is the Professional Florist Magazine Publisher in Germany as mass-circulation publisher in Germany. Total 254 collections were selected and studied in those collections of Korea and Germany. The most popular flower in Korea during a year of 2001, 2004, and 2007 for the bride bouquets is Rosa hybrida and it is also largely used in Germany. And Dendrobium phalaenopsis, Lilium longiflorum were used a lot in Korea, but few used in Germany. By the way, Zantedeschia spp., Hydrangea macrophylla were also used a lot after Rosa spp. in Germany, but it was very rare to use these flowers for the bride Bouquets in Korea. The most used Foliage Plant in Korea was Diffenbachia marianne in 2001 and Rumohra adiantiformis in 2004 and 2007 and Hedera helix in Germany. After Hedera helix, Euphorbia ramipressa, Galax uroelata, Heuchera americana were used a lot in Germany, but very few in Korea. In case of the number of materials in one bride bouquet, normally 3-5 materials were used in Korea in the year of 2001, 2004 and 2007, and 8 materials were mostly used in Germany in same period. Regarding shapes of the bride flower, circle shape is the most popular one in Korea, after then, the shapes of triangle, cascade were followed as popular ones. In case of Germany, waterfall shapes are the most popular one, and the shapes of crescent, vegetative had also high preference for the bride bouquets. In conclusion, we can learn that the bride bouquets in Germany has various of shapes and materials reflecting the nature itself, and from those trends, the bride bouquets in Korea make a effective changes selecting new materials with more creative ideas.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재료 및 방법
  Ⅲ. 결과 및 고찰
  Ⅳ. 적요
  Ⅴ. 인용문헌
저자
  • 문현선(고려대학교 대학원) | Hyun-Sun Moon 교신저자
  • 한고운(고려대학교 대학원) | Koh-Woon Han
  • 박천호(고려대학교 생명과학대학) | Chun-Ho Pa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