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원예치료가 지적장애 여자 중학생의 사회심리와 정서적 행동 및 손 기민성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Effects of Horticultural Therapy on the Psychosocial Behavior ,Emotional Behavior and Hand Dexterity in Mentally Retarded Middle-School Girl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83423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인간식물환경학회지 (Journal of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인간식물환경학회 (Society For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초록

본 연구는 일반학교 특수학급의 지적장애 여자 중학생을 대상으로 원예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사회,심리, 정서적 행동특성과 손기능 및 원예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9월 5일부터 11월 17일까지 주 2회씩(월요일,목요일) 총 22회 실시하였고, 6명을 대상으로 사회, 심리, 정서적 행동특성 검사지와 Purdue Pegboard 검사, 원예활동평가를 통해 원예치료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사회, 심리적 행동특성은 원예치료 프로그램 실시 전 평균 60.8점에서 실시 후 평균 72.5점으로 높아졌고, 통계적으로도 유의성을 나타냈다. 정서적 행동특성의 경우에도 프로그램 실시 전 31.7점보다 실시 후 평균 27.0점으로4.7점 낮아졌고, 통계적으로도 유의성을 나타냈다. 따라서 원예치료 프로그램은 지적장애 여자 중학생의 사회, 심리, 정서적 행동 특성의 변화에 효과적이었다. Purdue Pegboard 검사를 통해 손의 기민성을평가한 결과, 원예치료 프로그램 실시 후 오른손과 왼손의 기능이 향상되었다. 또한, 원예활동 평가에 있어서 참여성, 관심 및 조력성, 언어소통 능력, 자아개념 및 주체성, 욕구 충동적 적응력, 대인관계능력, 인지 및 문제해결능력, 운동지각능력, 숙련도와 직업적응력 등 9개 세부영역에서 실시 전보다 실시후 향상되었고, 통계적으로도 유의성을 나타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horticultural therapy on the psychosocial behavior, emotional behavior and hand function in mentally retarded middle-schoolgirls. The six subjects were participated in this program, and the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s(HTP) were conducted two times per week from 5 September to 17 November. To examine the effects of HTP, psychosocial and emotional behavior test, Purdue Pegboard test, and horticultural activity were evaluated between before and after HTP. In psychosocial behavior, it's mean value was increased significantly to 72.5 after HTP compared with 60.8 before HTP. The mean value of emotional behavior was lowered significantly to 27.0 after HTP than 31.7 before HTP. Therefore, HTP was effective in promoting the psychosocial and emotional behavior in mentally retarded middle-school girls. In evaluation of hand function by Purdue Pegboard test, dexterity of right and lefthand were significantly improved.There were statistically meaningful changes in all items of evaluation of horticultural activity, participation, interest and assistance, verbal interaction during activity, self concept and identity, need-drive adaptati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cognition and problem solving, exercise perceptivity, and life-tasks skill and vocational adjustment.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재료 및 방법
  Ⅲ. 결과 및 고찰
  Ⅳ. 적요
  Ⅴ. 인용문헌
저자
  • 유용권(목포대학교 생명과학부 원예과학전공) | Yong-Kweon Yoo 교신저자
  • 이은숙(목포대학교 생명과학부 원예과학전공) | Eun-Sook L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