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학교숲 조성이 초등학생의 학교조경 만족도 및 환경교육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Effects of School Forest on Elementary Students' Satisfaction with School Landscape and Environmental Educa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83482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인간식물환경학회지 (Journal of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인간식물환경학회 (Society For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초록

본 연구는 학교 옥외환경이 학생들의 환경의식 및 환경교육적 측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시범학교와 일반학교의 비교 연구를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1. 학생들은 자신의 학교 옥외공간에 ‘나무, 꽃 등의 관찰공간’, ‘화단’, ‘야외수업 및 휴식공간’, ‘연못 및 생태 숲’ 등에 대한 요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야외수업 및 휴식공간’에 대한 요구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2. 조경공간 만족도에 있어서는 시범학교와 일반학교의 차이가 검증되었으며 숲 조성으로 인한 식물 수량의 증가와 이로 인해 계절감을 느낄 수 있는 점이 만족의 이유로 조사되었다. 3. 학교숲 조성은 학생들의 식재수량 인식도에 유의적인 영향을 끼쳤으며, 학교숲 조성으로 인한 식재수량의 증가는 학생들의 식물 관찰빈도를 높여주는 결과를 보였다. 또한 관찰빈도의 증가가 식물이름을 아는 정도에도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교목․교화의 인지도, 교과서 식물 인지도의 분석 결과를 볼 때, 학교숲 조성 후 적극적인 환경교육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학생들의 환경의식고취 및 교육적 효과가 미비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현재 환경교육은 대부분 교실에서 이루어지는 교과서 위주로 진행되고 있었으며, 현장에서 직접 체험하는 방식의 교육이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학생들이 몸소 체험하며 보고, 듣고, 느낄 수 있는 방식의 효과적인 학습방법을 모색하기 위한 추가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surveyed elementary students in Chungju with regard to the effects of school forest on the children's satisfaction with school green spaces and environmental education, and it drew conclusions as follows. Perception on and satisfaction with school green spac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students at forest model schools and those at ordinary schools, and the difference is considered to have come from the positive effect of a school forest creation. A school forest crea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tudents' perception of volume of planting, and the increase in the volume of planting resulting from school forest creation made students observe plants more frequently. Accordingly, school forest are considered to have motivated students to take interest in nature and display the interest through practices. Thus,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facilities and environmental elements for increasing students' interest. Environmental education was being executed mostly in classroom using a textbook, and education based on experiences in the field was being conducted little. Thus, research of environmental education is necessary to find effective learning methods by which students themselves can experience, hear and feel.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범위 및 방법
  Ⅲ. 결과 및 고찰
  Ⅳ. 적요
  Ⅴ. 인용문헌
저자
  • 국지하(건국대학교 산림과학과) | Kuk, ji-Ha
  • 윤용한(건국대학교 산림과학과) | Yoon Yong-Han 교신저자
  • 박봉주(건국대학교 자연과학연구소) | Park Bong-Ju
  • 김원태(건국대학교 산림과학과) | Kim Won-Ta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