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

        1.
        2010.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tatus of planting status of school’s flower of 11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Chung-ju and its results were as follows. Totally 3,502 trees were planted in the 11 schools and the number of species of the trees was 103. For tall tree Thuja orientalis was planted most frequently and for shrub Buxus microphylla was done in the largest number of the schools. In addition, the number of trees planted in a school was averagely two times more in the model schools than in the other ones, and the average number of species of trees was also over three times more in the model schools. When the number of species of trees was examined according to their types, decidous broad leaved tree was found most frequently overall and the model schools had more various species of decidous tree compared to the other ones. Investigation on designation of school’s flower and tree with the 11 elementary school, revealed similar results with those of previous studies performed with the schools in other areas and the tendency meant that the designation was uniform to some degree. Moreover, as only a few school’s flower and tree were planted or no one was done in some schools, the species of school’s flower and tree needed to be determined by considering characteristics and school percepts of a school as well as local features and circumstances of a region. In addition, more efforts should be made to infuse love for school and to improve quality of education by increasing the planting rate of school’s flower and tree and by focusing them.
        2.
        200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학교 옥외환경이 학생들의 환경의식 및 환경교육적 측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시범학교와 일반학교의 비교 연구를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1. 학생들은 자신의 학교 옥외공간에 ‘나무, 꽃 등의 관찰공간’, ‘화단’, ‘야외수업 및 휴식공간’, ‘연못 및 생태 숲’ 등에 대한 요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야외수업 및 휴식공간’에 대한 요구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2. 조경공간 만족도에 있어서는 시범학교와 일반학교의 차이가 검증되었으며 숲 조성으로 인한 식물 수량의 증가와 이로 인해 계절감을 느낄 수 있는 점이 만족의 이유로 조사되었다. 3. 학교숲 조성은 학생들의 식재수량 인식도에 유의적인 영향을 끼쳤으며, 학교숲 조성으로 인한 식재수량의 증가는 학생들의 식물 관찰빈도를 높여주는 결과를 보였다. 또한 관찰빈도의 증가가 식물이름을 아는 정도에도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교목․교화의 인지도, 교과서 식물 인지도의 분석 결과를 볼 때, 학교숲 조성 후 적극적인 환경교육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학생들의 환경의식고취 및 교육적 효과가 미비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현재 환경교육은 대부분 교실에서 이루어지는 교과서 위주로 진행되고 있었으며, 현장에서 직접 체험하는 방식의 교육이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학생들이 몸소 체험하며 보고, 듣고, 느낄 수 있는 방식의 효과적인 학습방법을 모색하기 위한 추가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