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관상화훼식물의 실내공기 정화에 관한 연구 -이산화탄소를 중심으로- KCI 등재

Effect of Several Indoor Plants on Indoor Air Pollutants Removal - Focused on Removing Carbon dioxid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83519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인간식물환경학회지 (Journal of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인간식물환경학회 (Society For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초록

가스성 오염물질의 지표를 제공하는 이산화탄소를 시료로 사용하여, 식물의 공기정화 능력을 분석한 실험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공시 6가지 식물 모두 광합성이 활발한 낮 시간 동안에는 식물이 오염원을 흡수함에 따라, 이산화탄소 농도가 빠르게 감소하였다. 호흡작용을 통해 이산화탄소가 방출되므로 빛이 차단되는 밤 시간에는 농도가 다시 증가하였고, 특히 18시 ~ 20시 사이에는 급격한 농도 증가율을 보였다. 다음 날 아침 빛을 쬐기 시작하면 다시 오염원이 흡수되면서 농도가 감소한다. 이러한 이산화탄소 농도의 교환 현상을 통해, 빛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식물의 광합성량이 증가하며 그 결과 이산화탄소 제거율 역시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24시간 동안 측정한 식물별 광합성량과 호흡량을 가감한, 식물별 이산화탄소의 정화총량은 엽면적 1000 cm2 당 Ficus benjamina 49 ppm, Epipremnum aureum 99 ppm, Chamaedorea elegans 34 ppm, Fatsia japonica 123 ppm, Spthiphyllum spp. 115 ppm, Hedera helix 42 ppm으로 나타났다. 이산화탄소 순간소모량의 최대치를 보인 시간대는 각 식물별로 상이한데, 대개의 경우 광량 0.67 ~ 1.54 mW/cm3의 조건에서 가장 활발한 이산화탄소 흡수율을 보였다. Epipremnum aureum의 경우, 이산화탄소의 흡수가 비교적 높은 속도로 장기간 지속되었으며, 다른 식물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호흡량을 보였다. Fatsia japonica는 매우 대칭적인 이산화탄소 농도변화곡선을 보여, 광합성과 호흡이 일정하게 일어남을 알 수 있었다. 광량의 변화에 그리 민감하지 않아 폭넓은 광량조건의 실내공간에도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Spthiphyllum spp. 역시 장기간에 걸쳐 비교적 안정적으로 광합성이 일어났다. Hedera helix는 1.24 mW/cm3이상의 광조건에서 상당히 높은 이산화탄소 흡수율을 보였으나, 1.00 mW/cm3이하에서의 낮은 제거율로 보아 저광도 실내공간보다는 고광도의 전이공간이나 실외에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위의 연구결과를 통하여 이산화탄소 제거에는 Fatsia japonica, Spthiphyllum spp., Epipremnum aureum 순서로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purification capability of interior plants and to derive purification conversion factors that can determine their effectiveness in removing toxins associated with indoor air pollution, especially carbon dioxide. The result obtained from the study is as following. The experiment result has shown that in general, the removal rate increased as the photosynthetic rate increased during day time, which in turn depends on the light intensity. It was also found that the range of light intensity resulted effective purification varies from plants. The photosynthetic rate of a plant is greatly influenced by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temperature, humidity, ventilation and light. Thus, it is very important that plants can adjust to a wide range of surrounding conditions and are not very sensitive to such change. Since carbon dioxide is emitted back by respiration reaction, the plants should continually be able to continue photosynthesis process under relatively low light conditions. Considering the total quantities removed and the range of necessary light conditions, Fatsia japonica, Spthiphyllum spp., and Epipremnum aureum were found effective in carbon dioxide removal.

목차
ABSTRACT
  Ⅰ. 서언
  Ⅱ. 재료 및 방법
  Ⅲ. 결과 및 고찰
  Ⅳ. 요약
  Ⅴ. 참고문헌
저자
  • 박재숙(단국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 Jae Suk Park 교신저자
  • 이진희(상명대학교 환경조경학과) | Jin Hee Lee
  • 서정근(단국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 Jeung Keun Suh